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교육 > 교육
교육

7만3582명 확진, 83일만에 최다…'6차 대유행' 본격화

   

2022.07.19 16:34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1433854b537a50ec2430047e34d09e2d_1658215113_1278.jpg
코로나19 신규 확진, 7만 명대로 급증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73582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 83일 만에 최다를 기록한 19일 오전 서울 송파구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관계자들이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그래프를 살펴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19일 신규 확진자 수가 73천명대로 급증하며 올해 초 오미크론 대유행 이후 대규모 유행 국면이 본격화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73582명 늘어 누적 18861593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확진자 수는 주말 진단 검사 감소 영향으로 2만명대로 떨어졌던 전날(26299)보다 47283명 급증하면서 2.80배가 됐다.


1주일 전인 지난 12(37347) 1.97배로, 36235명 늘었다. 2주일 전인 지난 5(18136)과 비교하면 55446명 늘어 4.05배가 됐다.


이달 초 이후 1주일 사이 신규 확진자 수가 2배 안팎으로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이 계속되면서 지난 4 27(76765) 이후 83일 만에 최다 기록을 나타냈다.


지난 13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간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4252→39183→38867→41306→4338→26299→73582명으로, 일평균 43832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351, 해외유입 사례를 제외한 국내 지역 감염 사례는 73231명이다.


지역별 확진자 수(해외유입 포함)는 경기 2100, 서울 1838, 부산 4892, 인천 4238, 경남 3970, 충남 2756, 대구 2423, 경북 2218, 전북 295, 울산 268, 강원 29, 충북 1987, 대전 1954, 전남 1658, 광주 1368, 제주 1221, 세종 559, 검역 28명이다.



1433854b537a50ec2430047e34d09e2d_1658215373_866.jpg
[
그래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 추이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코로나19 유행 재확산세가 커지면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9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73582명 늘어 누적 18861593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달 초 이후 1주일 사이 신규 확진자 수가 2배 안팎으로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이 계속되면서 지난 4 27(76765) 이후 83일 만에 최다 기록을 나타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81)보다 10명 증가한 91명이다. 위중증 환자 수가 90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달 16(98) 이후 33일 만이다.


전날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12명으로 전날보다 1명 많다. 사망자는 연령별로 80세 이상이 8(66.7%), 70 1, 60 1, 50 1, 0∼9 1명이었다.

 

누적 사망자는 24765, 코로나19 누적 치명률은 0.13%.


방역당국은 현재 확진자가 급증하며 유행이 확산하는 국면에 있다면서도 확진자 증가 외에 위중증·사망자나 유행의 주요 원인인 집단발생, 신규 변이 확산 등 측면에서 이전 오미크론 대유행과는 다소 다르다고 보고 있다.


확진자 증가세에 비해 위중증·사망자 증가는 더디고 신규 변이인 BA.5가 우세화하는 가운데 BA.2.75(일명 켄타우로스)까지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점이 현 국면의 특징이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상황을 6차 대유행으로 판단하느냐는 질문에 "확산세가 지속 증가하고 있어 유행 상황으로 판단하며, 8월 중순말에 20만명 이상으로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전 대유행과 비교 분석을 위한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임 단장은 "확진자가 증가하면 시차를 두고 위중증과 사망자가 증가하겠으나, 위중증·사망자가 아직 큰폭의 증가세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도 "확진자 증감에 더해 위중증·사망자, 집단발생, 신규 변이 확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유행을 판단하는데 최근의 증가세는 이전 오미크론 이전 오미크론 유행(5)과 구분되는 새로운 유행"이라며 "'대유행'이라고 표현할지는 확진자 규모 등을 사후적으로 추가 평가 후에 명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유행을 주도하는 변이가 델타오미크론현 오미크론 하위 BA.5를 거치면서 확진자 규모는 계속 커지지만 치명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신규 변이들이 전파력은 이전보다 강력하지만 중증도는 낮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1433854b537a50ec2430047e34d09e2d_1658215953_0507.jpg
신규확진 83일 만에 최다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73582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 83일 만에 최다를 기록한 19일 오전 서울 송파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델타 유행기였던 지난해 말과 오미크론 대유행기였던 올 초만 보더라도, 확진자가 4∼5천명대에서 7천명대로 급증했던 지난해 128(7173)의 경우 위중증은 840, 사망자는 63명으로 치명률은 0.82%였다.


이후 확진자는 감소해도 치명률은 소폭씩 상승하며 1 14일 확진자 4537, 위중증 659, 사망 49명으로 치명률 0.92%를 기록했다.


1월 말부터는 우세종이 오미크론 변이로 바뀌면서 다시 대유행이 시작됐는데, 확진자 수는 델타 때와 비교해 '폭증' 수준으로 늘었지만 치명률은 오히려 낮아졌다.

 

일일 확진자가 62만여명으로 정점을 찍은 3 17일에는 사망자가 429명으로 치명률이 0.14%까지 감소했다. 당일 위중증은 1159명이었다.


최근 들어 다시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있지만 역시 위중증·사망자 수 증가폭은 그리 크지 않은 수준이다. 치명률도 4월부터 현재까지 0.13%를 유지하고 있다.


이날 병상 가동률은 전날과 비슷했다.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가동률은 14.9%(1428개 중 213개 사용)로 전날(15.2%)보다 0.3%P 떨어졌다.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중증·사망 비율은 낮고 의료체계 여력도 이전과 비교해 안정적인 편이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대응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방역당국은 이날 BA.5 등 신규 변이로 인해 당초 예상한 시점보다 빠르게 재유행이 발생했다고 밝히면서, 일일 확진자가 8월 중순말에 최대 28만명까지 증가하며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는 수정 예측치를 제시했다.

또한 확진자가 급증하면 일정 시차를 두고 위중증과 사망이 증가하는 만큼, BA.5 등 신규 변이의 중증도가 이전보다 낮더라도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며 분석하겠다고 설명했다.


1433854b537a50ec2430047e34d09e2d_1658216004_4461.jpg
코로나19 정례브리핑하는 백경란 질병관리청장

(청주=연합뉴스) 천경환 기자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19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브리핑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관련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아울러 방역정책을 위중증·사망에 취약한 고위험군 보호에 초점을 두고 일반 국민에게는 자율·참여형 생활방역을 재차 강조했다.


백경란 질병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통제 중심의 국가 주도 방역은 지속 가능하지 못하고 지향할 목표도 아니다" "정부는 방역 상황 안정화와 함께 국민 일상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특히 어려운 경제 상황을 고려해 민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중인 확진자는 전날보다 12929명 증가한 233433명이다.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교육 > 교육
교육
Hot

인기 포스코 포항제철소 '직장내 성희롱' 과태료 500만원·사법처리

2022.08.05 | 김승욱 기자

한국 첫 달탐사선 다누리 발사 후 분리 완료…5개월 여정 개시

2022.08.05 |
Hot

인기 추정뿐이던 중증천식 코로나 결합 위험성…동물실험으로 최초 규명

2022.08.03 | 임채두 기자

확진 12만명 육박, 110일새 가장 많아…해외유입 600명 역대최다

2022.08.03 | 김병규 기자
Hot

인기 둔촌주공 공사 재개될 듯…10월 새 집행부 선임·공사재개 총회

2022.07.29 | 홍국기 김준태 기자
Hot

인기 대장동 재판서 '돈다발 영상' 공개…로비 자금 추정

2022.07.22 | 황윤기 기자

법무부 "강제 북송 전 법리 검토…법적 근거 없다 판단"

2022.07.20 | 이대희 박재현 기자

반도체인재 10년간 15만명 키운다…관련학과 최대 5천700명 증원(종합)

2022.07.19 |
Now

현재 7만3582명 확진, 83일만에 최다…'6차 대유행' 본격화

2022.07.19 |

통일교 "아베 살해범, 통일교 신자 아냐…모친은 월 1회 출석"

2022.07.12 | 양정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