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교육 > 교육
교육

5월의 독립운동가에 박원희·김영순·조복금…일제탄압 맞서

   

2022.04.29 09:1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5월의 독립운동가에 박원희·김영순·조복금…
5월의 독립운동가에 박원희·김영순·조복금…'근우회' 창립주도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29일 민족 통합적 여성단체인 '근우회' 창립을 주도하고 민족차별에 맞서 항일운동을 펼친 박원희·김영순·조복금 선생을 '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근우회는 민족계와 종교계, 사회주의계의 여성을 통합해 '한국 여성의 단결, 지위 향상 및 항일운동'을 위해 조직된 단체다.

일제의 탄압에도 각종 강연회나 토론회를 통해 여성계몽활동, '광주학생운동' 등 여학생 운동 지원과 여성 근로자 임금 차별 철폐 등 활동을 벌였다.

박원희·김영순 선생은 1927년 5월 근우회 집행위원으로 선출됐고, 여성들의 교양 강연 및 계몽운동을 담당한 단체 내 교양부원으로 활동했다.

박 선생은 일제의 경제 침탈과 조선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내용의 강연을 하던 중 일본 경찰에 연행되는 등 고초를 겪었다.

김 선생은 근우회 활동에 앞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지원을 위해 1919년 결성된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서기로 활동하다 체포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하동 출신인 조복금 선생은 근우회 하동지회 대의원으로 활동하는 등 하동지역의 여성운동과 항일운동을 했으며, 일제의 직간접적 탄압으로 중앙 근우회가 해체된 이후에는 부산 조선방직회사 직공이 돼 노동항일운동 등에 참여했다.

정부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박원희 선생은 2000년, 김영순 선생은 1990년, 조복금 선생은 201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추서했다.

보훈처는 "세 사람은 당시 차별적인 여성문제를 인식하고 '여성 지위 향상'이라는 한국근대여성운동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으며, 일제의 탄압과 민족적 차별에 맞서 투쟁한 대한민국 여성의 상징"이라고 평가했다.

| 정빛나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교육 > 교육
교육
Hot

인기 포스코 포항제철소 '직장내 성희롱' 과태료 500만원·사법처리

2022.08.05 | 김승욱 기자

한국 첫 달탐사선 다누리 발사 후 분리 완료…5개월 여정 개시

2022.08.05 |
Hot

인기 추정뿐이던 중증천식 코로나 결합 위험성…동물실험으로 최초 규명

2022.08.03 | 임채두 기자

확진 12만명 육박, 110일새 가장 많아…해외유입 600명 역대최다

2022.08.03 | 김병규 기자
Hot

인기 둔촌주공 공사 재개될 듯…10월 새 집행부 선임·공사재개 총회

2022.07.29 | 홍국기 김준태 기자
Hot

인기 대장동 재판서 '돈다발 영상' 공개…로비 자금 추정

2022.07.22 | 황윤기 기자

법무부 "강제 북송 전 법리 검토…법적 근거 없다 판단"

2022.07.20 | 이대희 박재현 기자

반도체인재 10년간 15만명 키운다…관련학과 최대 5천700명 증원(종합)

2022.07.19 |

7만3582명 확진, 83일만에 최다…'6차 대유행' 본격화

2022.07.19 |

통일교 "아베 살해범, 통일교 신자 아냐…모친은 월 1회 출석"

2022.07.12 | 양정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