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교육 > 교육
교육

군부, 계엄군 투입 전날 미국에 "사전 발표는 저항 키울 수도"

   

미 국무부, 미대사·靑비서실장 면담 등 5·18문서 21건 추가 공개

2021.07.06 12:4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1980년 5월 23일부터 27일까지 광주에서 아시아 월스트리트저널 서울지국 소속 기자로 활동한 노먼 소프가 촬영한 5월 27일 오전 광주의 모습.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시민 붙잡아가는 5·18 계엄군

1980년 5월 23일부터 27일까지 광주에서 아시아 월스트리트저널 서울지국 소속 기자로 활동한 노먼 소프가 촬영한 5월 27일 오전 광주의 모습.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군부가 1980년 5월 27일 광주시민들을 무력 진압하기 전날 계엄군 투입 결정을 미국에 미리 알린 사실이 미 정부 문서를 통해 다시 확인됐다.

6일 외교부가 미국 정부로부터 받은 5·18 민주화운동 관련 비밀해제 문서 사본 21건에는 1980년 5월 26일 윌리엄 글라이스틴 당시 주한 미국대사가 최광수 대통령 비서실장을 면담한 결과 보고가 포함됐다.

이 자리에서 최 실장은 "계엄사령관처럼 차분하고 책임감 있는 이들을 포함한 다수 군 지휘관들은 (광주) 상황이 더 악화하도록 둬서는 안 된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장 지휘관인 소 중장에게 도시 재진입에 대한 재량권을 부여했으며 그는 실제 진입 전 서울에 통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인과 일부 간부들은 당초 (광주시민들에게) 충분히 알리고 사전 통보한 이후 낮에 재진입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다른 이들은 이 방식이 저항 강도를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군사행동은 사전 발표 없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계엄군 재진입 결정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사실은 미 국무부가 1989년 광주특위에 보낸 답변서 등을 통해 이미 알려진 적이 있지만, 관련 미 정부 문서가 완전히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이번에 공개된 문서에는 12·12 사태 직후인 1979년 12월 15일 글라이스틴 대사의 전두환 보안사령관 면담, 1980년 5월 23일 박충훈 국무총리 서리 면담 결과 등도 포함됐다.

주한미대사관이 1980년 5월 22일 국무부에 보낸 상황보고에는 광주에서 계엄군과 지역 시민위원회 간 협상이 진행 중이며 위원회에는 김대중과 가까운 인사들도 포함됐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협상과 관련해 계엄사령관은 김대중 석방은 "협상 대상이 아니다(not negotiable)"라고 밝혔다.

이들 문서는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 홈페이지에 공개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외교부는 6일 미국 정부로부터 받은 5·18 민주화운동 관련 비밀해제 문서 사본 21건을 공개했다. 사진은 1980년 5월 26일 윌리엄 글라이스틴 당시 주한 미국대사가 최광수 대통령 비서실장을 면담한 결과 보고. 2021.7.6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bluekey@yna.co.kr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교육 > 교육
교육
Now

현재 군부, 계엄군 투입 전날 미국에 "사전 발표는 저항 키울 수도"

2021.07.06 |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bluekey@yna.co.kr

델타변이 감염자 총 416명…정은경 "비수도권도 유행 급확산 가능성"

2021.07.05 |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soho@yna.co.kr

오세훈, SH 사장에 김현아 前의원 내정…19일 청문회

2021.07.05 |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고현실 기자 limhwasop@yna.co.kr

경기 포천 수백억 땅투기 사건에 기자·전직 경찰도 연루

2021.07.02 | (서울·부산=연합뉴스) 임성호 차근호 기자ready@yna.co.kr

검찰, 생후 2주 아들 학대·살해한 친부에 '무기징역' 구형

2021.07.02 |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doo@yna.co.kr

구속된 윤석열 장모 남은 의혹은…아내·측근 수사도 변수

2021.07.02 |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jujuk@yna.co.kr

헌재 "옥외 집회 사전신고 의무 조항 합헌"

2021.07.02 | (서울=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rock@yna.co.kr

서울경찰청, 이준석 '병역비리' 의혹 수사 착수

2021.07.01 |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chic@yna.co.kr

의료기관 손실보상에 9천억원…복지부 추경 1조5천502억원 편성

2021.07.01 | (서울=연합뉴스) 김서영 기자 sykim@yna.co.kr

서울 종로구 산후조리원서 화재…산모 등 40여명 대피

2021.06.29 |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zer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