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교육 > 교육
교육

국민연금 월 최고수령액 246만원…평균은 57만2천원

   

올 1월 말 기준 매달 200만원 이상 수령자 2천472명

2022.05.10 10:3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국민연금 월 최고수령액 246만원…평균은 57만2천원 (CG)
국민연금 월 최고수령액 246만원…평균은 57만2천원 (CG)

국민연금 최고액 수령자는 월 246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200만원 넘게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도 2천500명에 육박했다.

10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으로 매달 200만원 이상 연금 수령자는 2천472명(남성 2천433명, 여성 39명)으로 2020년(437명)보다 5.65배 증가했다.

이 중에서 월 수령액이 가장 많은 사람은 67세 남성으로 다달이 245만9천700원을 받고 있다. 이 사람은 국민연금 시행 첫해인 1988년부터 2016년 11월까지 347개월간 8천255만원의 보험료를 냈다. 2016년 12월부터 월 166만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었지만, 연기연금제도를 활용해 수령 시기를 5년 늦춘 덕분에 연금액이 36% 불어났다.

국민연금에는 수급자가 처한 사회·경제적 상황에 맞춰 연금수령 나이를 조정하는 장치가 있는데, 이 중에서 연기연금제도는 최대 5년 동안(출생연도에 따라 70세까지) 연금액의 전부, 혹은 일부분(50~90%, 10% 단위)의 수령을 늦춰서 연금을 더 많이 받는 제도다.

연기한 1개월마다 0.6%씩 이자를 가산해 1년 연기 때 7.2%, 최대 5년 연기 때 36%의 연금액을 더 얹어서 받는다.

연금액이 월 100만원 넘는 수령자는 46만6천613명으로 2020년보다 27.3% 늘었다.

전체 연금 수령자는 582만1천915명으로 2020년보다 9.7% 증가했다.

연금종류별 수급자는 노령연금 486만9천351명, 유족연금 88만2천755명, 장애연금 6만9천809명이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액은 57만1천945원이다.

여성 연금 수령자는 259만7천95명으로 2020년보다 11.6% 늘었다. 전체 연금 수령자의 44.6%를 차지한다.

65세 이상 노인 수령자는 417만5천763명이다.

100세 이상 수령자는 123명이다. 성별로는 여성이 91명이고 남성이 27명이다.

이 중에서 최고령 수령자는 108세의 할머니로 1994년 자녀가 숨지고 난 뒤부터 유족연금을 받고 있다.

국민연금에 20년 이상 장기 가입해 보험료를 내고서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76만2천643명으로 이들의 월평균 연금액은 97만227원이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
| 서한기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교육 > 교육
교육
Hot

인기 "강한 미세먼지 몰려오면 주말 여가 활동 급감"

2022.05.30 | 이지헌 기자
Hot

인기 인천 276명 확진…일주일만에 다시 최저치

2022.05.30 | 최은지 기자
Hot

인기 '여의도∼서울대 16분' 신림선 오늘 개통식…운행은 내일부터

2022.05.27 | 고현실 기자
Hot

인기 임금피크제는 연령 차별인가…오늘 대법원 첫 판단

2022.05.26 | 정성조 기자
Hot

인기 "조국 아들 인턴확인서 허위"…최강욱 2심도 의원직 상실형

2022.05.20 | 황재하 정래원 기자
Hot

인기 전장연, 용산 출근길 도로서 이틀째 시위…차량 통행 차질

2022.05.17 | 김치연 김윤철 기자
Hot

인기 검수완박에 몸집 커지는 경찰…내년 인건비 첫 10조 전망

2022.05.16 | 이정현 기자
Hot

인기 '선거법 위반' 이상직, 국회의원직 상실…집행유예 확정(종합)

2022.05.12 | 정성조 기자
Now

현재 국민연금 월 최고수령액 246만원…평균은 57만2천원

2022.05.10 | 서한기 기자
Hot

인기 고용보험 가입자 1천475만명…4개월 연속 50만명대 증가

2022.05.09 | 김승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