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군 복무 중 다쳐 제대한 청년들에 대한 지원에 나선다.
서울시는 "작년 6월 청년 유공자들이 오세훈 시장과 만난 자리에서 건의한 내용을 정책으로 실행하는 것"이라며 "청년 부상 제대군인이 합당한 대우와 보상을 받고 신속하게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자체 최초로 체계적인 종합지원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지원 대상은 서울에 사는 만 19∼39세 부상 제대군인과 국가유공자 약 2천500명이다.
서울시는 '서해수호의 날'인 25일 마포구 공덕동 워크앤올 마포T타운점(13층)에 '서울시 청년 부상 제대군인 원스톱 상담창구'(이하 원스톱 상담창구)를 열고 운영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청년 부상 제대군인을 위한 전용공간이 마련된 것은 "전국 최초"라고 했다.
원스톱 상담창구에 전문 상담·지원 인력을 배치해 군 보상금 신청, 국가유공자 등록 절차 등에 대해 알려준다. 국가유공자, 보훈보상대상자 선정 결과나 등급 판정에 불만이 있거나 법률적 애로 사항이 있으면 변호사에게 무료 법률상담도 받을 수 있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서울시는 원스톱 상담창구를 중심으로 시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청년지원사업과 연계해 청년 부상 제대군인의 심리 재활과 일자리 지원 등 자립을 도울 계획이다. '청년인턴 직무캠프' 등 일자리 프로그램을 추진할 때는 청년 유공자를 우대해 선발하기로 했다.
올 하반기에 '나라사랑청년상'(가칭)을 신설하고 서울도서관 서울기록문화관에 기념 공간을 조성하는 등 청년 유공자에 대한 예우도 강화한다. 청년 유공자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할 수 있는 영상을 제작해 기념 공간에서 상영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서해수호의 날'을 하루 앞둔 이날 오후 서울도서관 3층 서울기록문화관에서 청년 부상 제대군인들과 간담회를 했다.
오 시장은 "작년 6월 청년 유공자들과 만나 국가유공자로 인정받기 위해 개인이 홀로 감당해야 하는 애로사항을 듣고 국가를 위해 희생한 젊은 청년들을 위해 서울시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최대한 찾아보겠다고 약속드렸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서해수호의 날'을 맞아 청년 부상 제대군인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 청년부상 제대군인 원스톱 상담창구'를 개소하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청년 부상 제대군인들과 가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세심하게 살피고 챙기겠다"고 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군 복무 중 질병이나 부상으로 전역하는 군인은 연평균 1천여 명에 이른다.
국가유공자 등으로 선정되면 여러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사고 인과관계 파악부터 관련 서류 준비에 이르기까지 개인이 해야 하는 데다 심사기준도 엄격해 대상자로 선정되기까지 6∼12개월가량 걸린다고 서울시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