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교육 > 교육
교육

정부 "오미크론 유행 특성 맞게 중환자실 입실기준 변경 논의"

   

2022.03.03 13:1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환자 돌보는 의료진
환자 돌보는 의료진

※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정부가 지금의 오미크론 유행 상황을 반영해 코로나19 중환자실 입실 기준 변경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3일 온라인 백브리핑에서 "국가감염병임상위원회가 오미크론 유행 상황에서 중환자실 입실 기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현 상황을 보면 우선 앞선 델타 변이 유행 당시와 비교해 중환자실 재원 기간이 더 짧다는 게 중수본의 설명이다.

또 오미크론 대유행 상황에서 기저질환(지병) 환자가 다수 감염돼, 기저질환으로 인해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에 입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박 반장은 이에 대해 "준중증 병상을 중심으로 기저질환 확진자 격리실을 운영하다 보니, 호흡기 관련 중증 환자보다 기저질환 집중 관리가 필요한 사람이 많다"며 "병상 효율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호흡기 증상이 심하지 않은 코로나19 확진자를 어떻게 소화하느냐에 따라 병상 운영이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앞으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2천200∼2천500명까지 나올 수 있는데, 현재 확보한 중환자 병상과 준중환자 병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은 2천744개, 준중증 병상은 3천273개로, 이를 합치면 총 6천17개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를 언급하면서 "2천명까지는 안정적으로 대응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의료진 확진으로 인한 업무 마비가 생기지 않도록 각 병원급 의료기관에 업무연속성계획(BCP)에 따라 업무를 수행해 달라고 요청했다.

현재 의료기관별로 의료진의 2∼3%가 확진된 곳이 있고, 병동을 닫아야 하는 사례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앞서 BCP 가이드라인을 의료단체에 안내했고, 지난달 24일부터는 확진 의료진의 격리기간을 단축하고 일반병동 일부를 코로나19 병동으로 쓸 수 있게 한 '3단계(위기)' 시행을 허용했다.

| 신선미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교육 > 교육
교육

"BA.5, 인류 침범한 가장 빠른 바이러스…유행양상은 다를수도"

2022.07.12 | 최인영 기자

대전·세종·충남 전역 폭염 특보…낮 기온 31∼34도

2022.07.04 | 양영석 기자

나흘새 평균 270㎜ 집중호우…경기 곳곳 피해 속출

2022.07.01 | 최찬흥 기자

인천 475명 확진…나흘 만에 다시 500명 미만 감염

2022.07.01 | 손현규 기자

위생용품 단속해보니…'세균수 초과' 물티슈·물수건 적발

2022.06.29 | 조민정 기자
Hot

인기 '승객이 수상한데'…택시 기사 기지로 보이스피싱 수거책 덜미

2022.06.29 | 김솔 기자
Hot

인기 '잠 못 드는 밤'…고온다습 경남 곳곳에 열대야

2022.06.28 | 한지은 기자
Hot

인기 서울대, 윤성로 교수팀 '표절 논문' 27일 조사위 개최

2022.06.26 | 최현석 오보람 기자
Hot

인기 "제2의 손흥민 찾아라" 김천서 전국 유소년 축구대회

2022.06.24 | 홍창진 기자
Hot

인기 '박사방' 조주빈·남경읍, 피해자에 5천만원 배상 판결

2022.06.02 | 정래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