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2일(수)
  • 글이 없습니다.

 

홈 > 교육 > 교육
교육

벚꽃 만개에 집콕 탈출 러시…지자체 '방역구멍' 전전긍긍

   

축제 취소에도 낙동강·남천동·온천천·달맞이길 등지 '북적'

2021.03.26 15:48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AKR20210326089000051_01_i.jpg
26일 벚꽃 만개한 부산 온천천 시민공원
[촬영 손형주]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박성제 기자 = 부산 곳곳에 분홍빛 벚꽃이 만개했다.

    도심 곳곳에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자 집콕이 일상이었던 시민들의 꽃 구경 발길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방역 일선의 지자체들은 좌불안석이다.

    지지체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시민들이 지쳐있는 데다 지역 상권도 침체해 상춘객을 억지로 막을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자칫 방역에 구멍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한다.

    더욱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당부하는 현수막 설치와 직원 배치, 방역 소독 외 뾰족한 대책이 없어 지자체 고민이 깊다.

    26일 평일인데도 분홍빛 벚꽃이 만개한 주요 벚꽃 명소는 인파로 북적였다.

    주말 예고된 비에 벚꽃이 떨어질까 봐 서둘러 외출한 시민이 많았다.

    이날 벚꽃이 80% 이상 개화한 부산 온천천시민공원은 평일이라 당장 코로나19 확산이 우려되는 정도 인파는 아니었지만, 산책로와 카페거리 곳곳이 인파로 북적였다.

    온천천시민공원을 찾은 김모(44)씨는 "주말에 비 소식이 있어 휴가를 내고 꽃 구경을 하러 나왔다"며 "축제가 열리지 않고 꽃을 보며 가볍게 산책하는 정도는 방역에도 크게 무리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벚꽃 드라이브로 유명한 해운대 달맞이길은 오전부터 차량정체가 빚어졌다.
 

AKR20210326089000051_02_i.jpg
26일 온천천 시민공원 산책하는 시민들
[촬영 손형주 기자]


    왕벚나무로 유명한 낙동강 30리 벚꽃길과 낙동 제방도 비슷한 상황.

    지난해 벚꽃 유원지 출입로를 폐쇄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지자체가 통행 제한을 하지 않고 있다.

    부산지역 봄꽃 축제 대부분이 취소된 가운데 한 지자체 관계자는 "상춘객을 오라고도 가라고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각 지자체는 현재 현장에 방문 자제를 요청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구청 직원을 내보내 거리두기를 호소하는 등 시민들의 자발적인 방역를 유도하고 있다.
 

PYH2020041014900005100_P2.jpg
지난해 대규모 유채꽃 경관단지 갈아엎는 트랙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낙동강 유채꽃 축제는 예약제로 열릴 예정인데 유채꽃밭을 어디까지 남겨두는지 문제로 시와 구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부산시가 주최하는 이번 축제는 온·오프라인으로 열리는데 비대면으로 유채꽃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예약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당초 시는 유채꽃밭 대부분을 갈아엎고 일부만 남겨 온·오프라인 축제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관할 지자체인 강서구청는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부산시 관계자는 "장소, 시간 분산해 1시간 당 방문객이 50명을 넘지 않을 예정"이라며 "펜스로 구획을 나눠 방역지침 준수 아래 안전하게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강서구 관계자는 "꽃밭을 넓게 보존하면 선택받은 시민만이 아닌 많은 사람이 분산돼 오히려 축제를 즐길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부산시는 유채꽃밭 전체를 갈아엎고 축제를 취소했다.

    handbrother@yna.co.kr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교육 > 교육
교육

"아빠보다 엄마 유전자가 자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더 크다"

08.06 | 조성숙 기자

"장시간 음성 생성 가능" 억양·감정 표현하는 언어모델 개발

07.03 | 서순복 기자

국내 유일 쇄빙선 아라온호, 북극항로 진출 대비 북극해 탐사

07.02 | 조성숙 기자

난치병 '간질성방광염' 줄기세포 치료 임상시험 세계 첫 성공

07.01 | 박상민 기자

독립기념관, 2025년 교육 서포터즈 '독립 알리샘' 44명 위촉

03.10 | 유의주 기자

崔대행, 신학기 교육개혁 점검…"국가책임 교육·돌봄 강화"

03.10 | 이준서 기자

폴리텍大 새 슬로건으로 '푸른 미래를 열다, 국가대표 기술교육'

03.10 | 김은경 기자

박물관·미술관 이끌 미래 인재 키운다…'뮤지엄 아카데미'

01.16 | 김예나 기자

서울 학생참여단, 교육감에 '딥페이크 대책 강화' 요구

01.16 | 서혜림 기자

제주4·3학생교육관 건립해 평화·인권교육 세계화

01.10 | 김호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