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지난달 미국 가계소비 증가세 둔화…올해도 지속 전망"

   

뉴욕 연은 조사…가계소비 증가율 7.7%로 4달 전 9.0%보다 하락

2023.01.18 11:5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fb473de49e315c2e0781246a30d2965d_1674010531_815.jpg

한 미국 식료품 상점의 소비자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진정 추세라는 관측 속에 지난달 미국 가계의 소비 증가세도 둔화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7(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4개월 단위로 실시하는 설문조사 결과 지난달 가계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중간값 기준), 고점이던 지난해 8월 증가율 9.0%보다 내려왔다고 발표했다.


최근 4개월 새 목돈이 들어가는 지출을 했는지와 관련, 지난달에는 56.4%가 그렇다고 응답해 지난해 8(61.7%)은 물론 2021 12(58.1%)보다 줄어들었다. 자동차를 구매했다는 응답도 2020 8월 이후 가장 낮았다.


2023년 월평균 가계소비 증가율 예상치는 4.0%로 지난해 8월 조사 때(4.4%)보다 낮아지는 등 앞으로도 소비 증가세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예상치 못하게 소득이 10% 늘어날 경우 대출 상환에 더 큰 비중을 쓰겠다는 응답도 전년 동기대비 늘어났다.


다만 지난달 가계소비 증가율은 2021 12(+5.1%)은 물론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 12(+2.5%)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미국이 40여 년 만의 인플레이션에 직면하면서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소비를 진정시키려 하고 있으며, 지난해 0.25% 수준이던 기준금리 상단을 4.5%로 끌어올린 상태다.


미국경제가 침체를 겪을 것이라는 우려 속에, 시장에서는 연준이 다음 달 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는 등 올해 기준금리 고점을 5% 위로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 상무부는 18일 지난달 소매판매 통계를 발표할 예정이며, 금융정보업체 리피니티브 집계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이 수치가 전월 대비 0.8% 감소해 지난해 11(-0.6%)보다 감소 폭이 커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 차병섭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캄보디아 당국 "한국인 80여명 이민국에 구금 중…귀국 거부"

10.15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급거 방미' 조현 외교장관, 9일 아닌 10일에 美국무 면담

09.10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日언론, 김정은 열차편 방중 가능성 촉각…"단둥시 경비 강화돼"

09.0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北문제 제한없이 필요한 얘기 다 할 것…길 만들어야"

08.25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아야…진심 어린 위로가 중요"

08.2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지방경찰 태평양전쟁 위안소 운영 개입 추정 문서 발견"

08.20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美국방부 당국자, 방위비 문제에 "韓과 진전될 것…日은 불충분"

08.19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중국 특사단 25일께 파견…시진핑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할 듯

08.18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미국 동전에 첫 한국계 여성…장애인권 운동가 '지혜씨' 밀번

08.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제약사,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 파킨슨병 신약 신청

08.06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