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6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우크라 침공] 중국 전문가 "중국, 우크라 사태 중재 안 나설듯"

   

2022.03.08 10:24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AFP/스푸트니크=연합뉴스) 지난달 4일 중국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에서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념촬영하는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2022.3.8.

지난달 4일 중국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에서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념촬영하는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중재자로 나서지 않을 것으로 관측했다.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 고문인 스인훙 인민대 교수는 이 매체에 "중국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노력하려고 해도 러시아는 들을 것 같지 않다"며 "그렇기에 중국이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역효과를 낳을 수 있고 중국의 이미지도 해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기껏해야 러시아의 침공에 대해 간접적으로 회의적인 입장을 표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7일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인 방식으로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며 "중국은 권고와 촉구를 통해 건설적인 역할을 발휘하고, 필요한 경우 국제사회와 주선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스 교수는 왕 부장의 발언에 대해 "중국의 입장이 바뀔 것 같지 않다. 중국에 대한 서방의 압력이 커진다 해도 결국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왕이웨이 인민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도 중국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이 분쟁 초기 단계에 중재자로 직접 개입할 것 같지 않다고 전망했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중국의 말을 쉽게 듣지도, 자신의 전략적 목표나 야심을 쉽게 포기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장기적으로 해당 지역 안보 협의를 위해 대화가 필요할 경우 중국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유럽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블라디미르 포르트야코프 러시아 극동문제연구소 부소장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러시아와 중국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도 러시아와 중국이 만족할 만한 상호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면서도 "그러나 최종 평가를 하기에 지금은 너무 이르다"고 밝혔다.

다닐 보흐코프 러시아 국제관계위원회 연구원은 "중국이 러시아와 거리를 둬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없어 보인다"며 "지금껏 중국은 모든 공식 입장에서 극도로 조심해왔기 때문에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 고조는 중국에 직접적 영향이 없다. 아마도 중국은 계속해서 그렇게 할 것 같다"고 관측했다.

우크라 키이우 인근까지 진출한 러시아군 기갑부대
우크라 키이우 인근까지 진출한 러시아군 기갑부대

러시아군 병사들이 7일(현시간) 탱크 등 기갑차량을 몰고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 인근 도로에서 이동하고 있다.


| 윤고은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캄보디아 당국 "한국인 80여명 이민국에 구금 중…귀국 거부"

10.15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급거 방미' 조현 외교장관, 9일 아닌 10일에 美국무 면담

09.10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日언론, 김정은 열차편 방중 가능성 촉각…"단둥시 경비 강화돼"

09.0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北문제 제한없이 필요한 얘기 다 할 것…길 만들어야"

08.25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아야…진심 어린 위로가 중요"

08.2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지방경찰 태평양전쟁 위안소 운영 개입 추정 문서 발견"

08.20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美국방부 당국자, 방위비 문제에 "韓과 진전될 것…日은 불충분"

08.19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중국 특사단 25일께 파견…시진핑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할 듯

08.18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미국 동전에 첫 한국계 여성…장애인권 운동가 '지혜씨' 밀번

08.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제약사,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 파킨슨병 신약 신청

08.06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