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문화예술로 들여다본 분단 이후 남북한 역사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완간

2021.04.06 16:1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AKR20210406126600005_01_i.jpg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한반도 분단 이후 달라진 남북한 문화예술 개념을 학술적으로 조명한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사회평론아카데미)가 최근 완간됐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으로 2016년부터 시작된 이 연구는 2018년 1∼3권이 출간된 데 이어 이번에 4∼8권이 나왔다.

    책은 문학예술이 근대와 해방을 거쳐 분단의 역사와 어떻게 접속하는지 탐색하고, 남북으로 분단된 현 상황이 사실은 개념의 분단을 통해 강화되고 있음을 밝힌다.

    1∼3권은 분단을 재구성하고 한반도의 특수한 문학예술 개념을 이끄는 '민족'에 주목한다. 민족이 예술과 어떻게 관련됐는지 들여다보고, 민족의 의미와 개념의 생성 및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4∼6권은 '장르와 사조'에서 개념의 분단사를 다룬다. 책은 분단 초기 북한은 사조의 개념을 소련을 통해 번역해 들여왔다면, 남한은 서구 이론에 근거를 뒀다고 설명한다. 또 북한의 문화예술은 형식주의나 자연주의 등을 부르주아 반동 이데올로기로 비판하고, 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 방법을 강조한다고 주장한다.

    7∼8권은 영화, 미술, 음악 등 문화예술 분야에서 생산, 수용, 활용되는 일상어에 주목한다. 문화예술과 대중이 만날 때 이들 일상어가 어떻게 남북한에서 분단의 개념으로 기능했는지 엿볼 수 있다.

    각권 218∼390쪽. 각권 2만3천∼2만8천원.

    dklim@yna.co.kr 

|

기사에 대한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