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트럼프 "하버드는 웃음거리"…보조금·면세권 박탈 현실화 수순

   

국토안보부 "하버드 안보 위협…38억 원 규모 보조금 취소" "국세청, 하버드 면세지위 박탈 곧 최…

2025.04.17 12:2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048ae05a47fe62dce44decce7e62bbce_1744860319_2229.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명문 하버드대학교에 대해 예고한 보조금 취소와 면세 지위 박탈을 현실화하고 나섰다.


크리스티 놈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은 16(현지시간성명을 통해 하버드대에 대한 총 270만 달러( 38억 원규모의 국토안보부 보조금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놈 장관은 "유약한 지도부에 의해 반유대주의에 굴복한 하버드가 극단주의 폭동의 온상이 되어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미국 국민들은 자신들의 세금을 맡겨둔 대학들에 더 많은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조치는 하버드에 대한 22억 달러( 3 1천억 원규모의 연방 보조금을 동결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국세청(IRS)도 하버드대에 대한 면세 지위 박탈을 추진하고 있다고 미 CNN 방송이 이날 보도했다.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하버드대 면세 지위 박탈에 대한 최종 결정이 곧 내려질 것이라면서 이같이 전했다.


미 국세청은 연방법에 따라 세금 면제를 취소할 권한이 있다.


하버드대와 같은 교육종교자선 목적의 비영리 기관은 다양한 부분에서 면세 혜택을 받지만정치 활동을 하는 등 규정을 위반하면 면세 지위를 잃을 수 있다


다만 미 국세청이 면세를 철회하는 일은 흔치 않다고 CNN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하버드대를 겨냥한 비난을 이어갔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하버드는 웃음거리(JOKE)"라며 "(하버드는증오와 어리석음만 가르치고 있으니 더 이상 연방정부 지원도 받아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버드는 심지어 더 이상 제대로 된 교육기관이라고 부를 수도 없다" "그 어떤 세계 명문대 목록에도 고려 대상이 돼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하버드대는 지난 14일 미국 대학 중에서는 처음으로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한 트럼프 행정부의 교내 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연방 보조금을 받으려면 입학·채용에서 다양성 우대 조치를 중단하고반이스라엘 성향 학생의 입학을 막기 위한 유학생 제도를 개편하는 등의 조치를 실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는데이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든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곧바로 하버드대에 수년간 22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과 6천만 달러( 854억원규모의 계약을 동결하는 보복 조치를 발표했으며 이후 하버드대에 대한 면세 지위 박탈 가능성까지 거론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많은 대학에 정책 변경이 없으면 정부 지원금을 삭감하겠다고 위협해왔다매사추세츠공대(MIT)가 하버드대에 이어 정부 요구를 거부하고 정부 요구에 굴복했던 컬럼비아대도 태세를 바꾸는 등 반발 기류가 확산하고 있다

| 신재우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캄보디아 당국 "한국인 80여명 이민국에 구금 중…귀국 거부"

10.15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급거 방미' 조현 외교장관, 9일 아닌 10일에 美국무 면담

09.10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日언론, 김정은 열차편 방중 가능성 촉각…"단둥시 경비 강화돼"

09.0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北문제 제한없이 필요한 얘기 다 할 것…길 만들어야"

08.25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아야…진심 어린 위로가 중요"

08.2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지방경찰 태평양전쟁 위안소 운영 개입 추정 문서 발견"

08.20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美국방부 당국자, 방위비 문제에 "韓과 진전될 것…日은 불충분"

08.19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중국 특사단 25일께 파견…시진핑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할 듯

08.18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미국 동전에 첫 한국계 여성…장애인권 운동가 '지혜씨' 밀번

08.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제약사,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 파킨슨병 신약 신청

08.06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