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엔비디아, 미중갈등에 발목 잡히나…"美, AI칩 수출 통제 강화"

   

2024.12.20 11:48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dc8a0bc5b169d250f7ce18b1eb26cb93_1734662868_1644.jpg
지난 10월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엔비디아 AI 서밋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자국 기업의 인공지능(AI) 반도체 판매에 대한 통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4명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미 당국의 방안에 대해 "동맹들은 제한 없이(unfettered) (AI 칩을)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적국은 완전히 막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기타 국가들은 미국의 전략적 목표에 대한 지지(alignment) 정도에 따라 구매 가능한 쿼터(할당량)를 받도록 한다는 것이다.

NYT는 이러한 제한 조치가 AI 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사업 확장 계획을 위협할 것이라고 짚었다. 미국 당국자들은 엔비디아 칩의 전 세계적인 판매가 적국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백악관과 상무부 당국자들은 지난여름 반도체 업계 인사들에게 새로운 AI 정책을 마련 중이라고 알리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는 미국과 유럽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들이 건립한 데이터 센터에 대해서는 수십만개 칩을 한도로 승인을 더 신속히 하는 반면 다른 나라의 기업들에 대해서는 조사를 강화하고 승인 절차를 늦추는 내용이 담겼다고 NYT는 전했다.

해외에 AI 데이터 센터 건설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중국으로 반도체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고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려 한다는 것이다.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를 강화해온 바이든 정부가 AI 칩 판매 통제를 강화하고 이를 외교적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고 NYT는 짚었다.

dc8a0bc5b169d250f7ce18b1eb26cb93_1734662903_9428.jpg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최근 AI 반도체 기술의 대중국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수출 통제에 나선 미국이 제3국을 통한 '우회 조달'도 막기 위해 새로운 규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이달 중 내놓을 새 규제 조치는 대형 컴퓨팅 시설이 있는 국가에 출하되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반도체에 한도를 설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 기업연구소(AEI)의 클론 키친은 "모든 미국 행정부는 중국 정부가 세계 무대에서의 작동 방식과 입장을 바꾸지 않는 한 미중 기술 경쟁이 계속될 것임을 분명히 해왔다"면서 엔비디아 등 기업들이 통제 강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바이든 행정부 인사들에게 새로운 규정이 시행되면 타격이 우려된다고 밝히는 등 규제 완화를 위한 막바지 로비를 시작했지만 이미 늦었을 수 있다고 NYT는 봤다.

바이든 행정부의 임기가 한달 정도밖에 남지 않은 가운데 소식통들은 새 규정이 몇 주 내에 공개될 전망이라면서, 황 CEO가 규제를 막기 위해 차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가까운 인사들을 접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그레고리 앨런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 정책에 어떠한 입장을 취할지는 불분명하다면서도 공화당 상하원 지도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가 너무 약하다고 비판한 바 있다고 짚었다.

AI 붐의 중심으로 떠오른 엔비디아는 최근 미중간 대치 전선이 되고 있다.

미 상무부는 엔비디아에 지난 1년간 중국으로 유출된 자사 칩에 대한 조사를 요청했다고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이 이날 보도했다.

중국 정부도 최근 엔비디아에 대한 반독점 혐의 조사에 착수했으며, 이는 엔비디아가 당초 약속과 달리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를 근거로 중국에 대한 제품 공급을 중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 차병섭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Hot

인기 퇴임 앞둔 바이든, 내달 로마서 교황 만난다…고별무대 될 듯

2024.12.20 | 김계환 기자
Now

현재 엔비디아, 미중갈등에 발목 잡히나…"美, AI칩 수출 통제 강화"

2024.12.20 | 차병섭 기자
Hot

인기 젤렌스키 "러 쿠르스크 작전에 북한군 상당수 투입"

2024.12.15 |
Hot

인기 韓권한대행·바이든 통화…"헌법 따라 국정" "민주주의 신뢰"

2024.12.15 | 김영신 김용래 기자
Hot

인기 "애플, 내년 초박형·내후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추진"

2024.12.15 | 신재우 기자
Hot

인기 美 메리엄웹스터 사전, 올해의 단어로 '양극화' 선정

2024.12.10 | 이지헌 특파원
Hot

인기 유엔 인권대표 "아사드 범죄 책임 물어야…증거보존 필요"

2024.12.10 | 안희 특파원
Hot

인기 [노벨상 시상] 주스웨덴 한국문화원서 '한강 축하 행사'

2024.12.10 | 정빛나 특파원 황재하 기자
Hot

인기 계엄사태 여파 속 韓美, 핵우산 강화 회의·도상연습 연기

2024.12.04 | 조준형 송상호 특파원
Hot

인기 머스크, 한국의 계엄 관련 소식에 "와우…충격적"

2024.12.04 | 임미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