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독일 양대정당 낮은 득표율…연정구성 협상 난항 예고

   

사민당 '신호등', 기민당 '자메이카' 연정 경쟁…대연정 가능성도

2021.09.30 10:1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AFP=연합뉴스]
올라프 숄츠 사민당 총리 후보(왼쪽)와 아르민 라셰트 기민-기사당 연합 총리 후보


 


다당제와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독일의 역대 연방하원 총선에서는 어느 한 정당이 단독 집권한 일이 없다. 1949년 제헌의회 이후 지난 26일 실시된 20대 총선까지 예외 없이 선거 이후 연정 구성 협상이 벌어졌다.

2005년 총선 이후 계속 연임에 성공한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은 4번의 총선 이후 모두 복잡다단한 연정 협상을 통해 새 내각을 구성했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는 양대 정당인 사회민주당(SPD)과 기민당 모두 20% 대의 저조한 득표율을 보여 그 어느 때보다 연정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메르켈 총리가 퇴진을 선언한 이후 첫 총선이라는 점에서 연정 협상 과정에서 양당 총리 후보가 메르켈과 같은 지도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올라프 숄츠 사민당 총리 후보는 총선에서 박빙의 승리를 거둔 직후 유권자들로부터 연립정부 구성을 위임받았다며 16년 만에 정권교체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아르민 라셰트 기민·기사당 연합 총리 후보도 연정 구성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했다.

사민당은 우선 같은 좌파 성향을 가진 녹색당과의 연정을 염두에 두고 있다. 숄츠 총리 후보는 총선 이전부터 녹색당과 연정을 공공연하게 밝혀온 바 있다. 사민당과 녹색당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확대 재정 지지, 증세, 공공투자 확대 등 주요 이슈에서 비슷한 입장을 보여 이들 두 정당 간 협상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수 우파인 자유민주당(FDP)을 끌어들여 사민당(적)-녹색당(녹)-자민당(황)의 '신호등 연정'을 완성하려면 작지 않은 이념과 정책 차이를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민당과 자민당은 최저임금 인상안과 조세 정책 등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기민-기사당 연합(흑)도 녹색당과 자민당을 끌어들이면 자메이카 국기색인 흑-녹-황의 '자메이카 연정'을 구성할 수 있다. 자민당은 여러 차례 기민-기사당 연합과 연정에 참여한 바 있다. 최근에는 2009년 총선 이후 기민-기사당 연합과 보수 연정을 구성한 바 있다.

보수 연합이 녹색당을 붙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정책적 양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녹색당의 환경 정책과 경제 정책을 기민-기사당 연합이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지가 협상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녹색당이 좌파를 벗어나 보수 연정에 참여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1당인 사민당과 3당인 녹색당이 합의하면 여기에 자민당이 참여하는 신호등 연정이 우세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더해 숄츠 총리 후보의 지도력이 자민당을 설복시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사민당과 기민-기사당 연합의 대연정 정부가 구성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 사민당의 숄츠 후보는 메르켈 총리 내각에서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으로 대연정 정부를 함께 이끌기도 했다.

독일 정치에서 대연정은 그리 흔한 정부 형태는 아니었으나 메르켈 총리 집권 이후 여러 번 실현됐다. 1965년 총선에서 기민-기사당 연합과 자민당이 연정을 구성했으나 이듬해인 1966년 10월 자민당이 연정에서 탈퇴하고 그해 11월 기민-기사당 연합과 사민당의 대연정이 사상 처음으로 출범했다.

이후 한참 동안 대연정은 자취를 감추다가 2005년 총선에서 메르켈 총리가 처음 집권하면서 다시 등장했다. 메르켈 총리는 4번의 총선을 치르면서 2009년 총선 이후에만 자민당과 보수 연정을 구성했을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대연정에 합의했다.

2000년대 이후 독일 정치에서 대연정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군소 정당을 끌어들여 불안한 형태의 연정을 구성하기보다는 양대 정당이 안정적으로 정부를 구성하는 방안이 선호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송병승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Now

현재 독일 양대정당 낮은 득표율…연정구성 협상 난항 예고

2021.09.30 | 송병승 기자
Hot

인기 '오커스' 반대 날 세우는 중국 "냉전회귀·군비경쟁·핵확산"

2021.09.29 | 조준형 특파원
Hot

인기 옐런 "내달 G20 정상회의서 글로벌 최저 법인세 합의 기대"

2021.09.29 | 이귀원 기자
Hot

인기 "월가 거물, 바이든 취임 직후도 베이징서 중국지도부 만나"

2021.09.28 | 윤고은 특파원
Hot

인기 미국-EU, 첫 무역·기술회담에서 반도체·경쟁·AI 논의

2021.09.28 | 임주영 기자
Hot

인기 메르켈 후계 연정협상서 결정…녹색·자민당이 킹메이커

2021.09.27 | 이 율 특파원
Hot

인기 IAEA "이란, 원심분리기 부품 작업장 접근 불허…합의 위배"

2021.09.27 | 임주영 기자
Hot

인기 백악관, 여야 기싸움 속 연방정부에 "셧다운 대비하라" 주문

2021.09.24 | 임주영 기자
Hot

인기 바이든 '기업의 백신접종 의무화' 박차…시카고 찾아 강조 예정

2021.09.24 | 김현 통신원
Hot

인기 미·러 군 수뇌부 6시간 헬싱키 회동…2019년 이후 처음

2021.09.23 | 임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