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中 무비자 효과 '글쎄'…"정치·경제적 이유로 中여행 꺼려"

   

블룸버그, 정책 실패 꼬집어…"팬데믹 이전의 63% 회복에 그쳐"

2025.01.10 11:4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내수 침체에 빠진 중국이 비자 면제 정책을 대대적으로 확대했음에도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실패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당시 강력한 봉쇄정책으로 중국에 대한 여행 선호도가 하락한 데다 불편한 결제 시스템과 여전한 인터넷 검열 등이 중국으로 향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을 끊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10일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에 중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2천300만명으로 집계됐으며, 중국 목표치에 한참 못 미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23년 같은 기간과 단순 비교하면 두 배로 늘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63%에 불과한 수준이라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중국은 지난해 1억9천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해 수십억달러의 경제효과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현실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미국과 서유럽 국가 출신 관광객은 매우 적었고, 주로 근처 아시아 국가 출신 외국인이 중국을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블룸버그는 "서방 국가에서 중국을 바라보는 인식이 나빠졌다"면서 "경제적·정치적 이유로 중국 여행의 선호도도 자연스레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전문 여행사인 임페리얼 투어의 설립자 가이 루빈은 "미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중국을 두려워한다"면서 "사람들은 지정학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전했다.

임페리얼 투어는 팬데믹 이전에는 사업 부문의 90%가 중국 여행을 취급했지만, 이제는 한국 여행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서양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있는 상황도 여행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행 통계 업체 포워드키스의 자료를 보면 중국 관광 여행객은 2019년의 79% 수준으로 회복했으나, 출장 여행객은 겨우 52% 수준을 회복했다.

출장 여행 예약 전문 업체인 사반티 트레블은 "한때 우리는 글로벌 경영진을 위한 중국 여행을 많이 주선했으나, 이제는 그 지역이 도쿄나 서울로 대체됐다"면서 "업무를 마친 뒤에는 일본의 다른 지방이나 발리 등으로 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현금 또는 신용카드가 오히려 불편한 독특한 결제 시스템과 구글·인스타그램 등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인터넷 검열도 중국 여행을 주저하게 하는 요소가 됐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중국은 지난해 38개 국가에 대한 무비자 정책을 실시했다. 한국은 같은 해 11월 비자 면제 대상 국가에 포함됐다.

또 중국 당국은 54개 국가의 경우 중국 환승 경유에 대해서도 비자 면제 정책을 실시했다.

팬데믹 이전에는 싱가포르·일본·브루나이 등의 국가에만 제한적으로 무비자가 적용됐었다.

블룸버그는 "과거 중국은 비자 면제 정책을 실시할 때 상대 국가에 호혜적 요구를 하는 경향이 강했다"면서 "이제는 일방적 비자 면제를 주도적으로 제공해 심각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상황에서 외국인 소비자를 유치하려는 절박함이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9ecdf2c79c6a154e1ffc730e3fb182d8_1736476956_3344.jpg
한국의 중국 비자 발급 대행사

| 권숙희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Hot

인기 트럼프, 미일 안보조약에 또 불만…"우리만 수백조원" 부풀리기

04.11 | 이도연 기자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日정부 "美관세조치, 세계 경제·무역체제에 큰 영향"

04.09 | 경수현 특파원
Hot

인기 日정부도 내일 尹탄핵심판 결과 주시…"한일외교 영향 우려"

04.03 |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아시아, 상호관세 직격탄 맞나…성장률 최대 1.3%p 하락 가능성

03.31 | 주종국 기자
Hot

인기 美 "한국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 애도…주한미군도 지원 준비"

03.28 | 강병철 특파원
Hot

인기 파리 '차없는 거리' 500곳 추진…"출퇴근 불편"vs"친환경 지지"

03.24 | 이신영 기자
Hot

인기 "美 4월2일 상호관세, 한국 등 가능성…자동차 등 품목관세는 보류"

03.24 | 고동욱 기자
Hot

인기 日언론 '한총리 탄핵기각' 신속 보도…"대행의 대행 체제 끝나"

03.24 |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日의원, '윤봉길추모관' 설립 반발…"테러리스트 추도 수용못해"

03.10 |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이스라엘·하마스, 긴장 고조 속 2단계 휴전협상 준비

03.10 | 김용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