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中설날 전 200조원 풀릴듯…증권업계 "이달 지준율 인하 가능성"

   

작년에도 춘제 전 지준율 낮춰…인민은행장 "인하 여유 있다"

2025.01.03 13:16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a28beebda5bd1e6347e8acb12cc8106f_1735877751_1732.jpg
위안화



중국 당국이 올해 경제 회복을 위해 '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적절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기조로 확정한 가운데, 작년 시중 유동성 공급을 위해 잇따라 인하된 지급준비율(RRR)이 연초부터 재차 떨어질 수 있다고 중국 증권사들이 내다봤다.

3일 중국 매체 펑파이에 따르면 중신증권(CITIC)은 "2025년은 2020·2022·2023년과 비슷하게 섣달그믐(음력 마지막 날)이 1월에 있고, 유동성이 과세기간과 춘제(春節·중국의 설) 현금 인출 수요 중첩에 직면해 있다"며 "단계적으로 금리가 소폭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과거 춘제 전후 중앙은행(중국인민은행)의 운영 모델을 참고하면 춘제 전에 지준율을 낮출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아야 한다고 본다"며 "설령 지준율을 인하하지 않더라도 현재 중앙은행의 풍부한 유동성 관리 도구와 '적절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고려하면 역환매조건부채권(역환매조건부채권)과 국채 매입 등 여러 도구를 통해 자금 변동성을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중국 궈하이증권은 "춘제 이후 자금 공백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이달 지준율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며 "지준율이 0.5% 낮아지면 장기 자금 1조위안(약 200조원)가량이 풀려 은행 간 자금 결손을 충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상증권 역시 "1월 춘제에는 세금 납부와 정부채권 발행, 춘제 현금 인출 등 여러 요인의 영향으로 중앙은행이 당월 혹은 직전 연도 12월에 지준율을 인하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짚었다.

지난달 12일 열린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재정 적자율 인상과 지방정부 특별채권 발행 증대 등 '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지준율·금리 인하 등 '적절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올해 경제정책 방향으로 설정했다.

당국의 연이은 부양책 발표에도 부동산시장·내수 침체가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은 데다 이달 출범할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강한 대(對)중국 무역 공세를 예고하는 등 올해 중국 경제 전망에 부정적 요인이 잇따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됐다.

최근 중국은 사실상 중앙은행의 결정만 있으면 되는 지준율 인하 카드를 가장 먼저 고려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인민은행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 속에 2022년 4·12월, 2023년 3·9월에 지준율을 0.25%포인트씩 각각 낮췄다.

이어 지난해 춘제 연휴를 앞둔 2월 5일 0.5%포인트 더 인하했고, 국경절 연휴(10월 1∼7일)를 앞둔 9월 27일 0.5%포인트를 추가 인하했다. 9월 지준율 조정으로 중국 시중은행 가중 평균 지준율은 약 6.6% 수준이 됐다.

이런 가운데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달 29일 올해 경제 전망 기사에서 "지준율 인하 정책 실시 후 은행업계 평균 지준율은 대략 6.6%로, 이 수준은 국제 주요 경제체(국가) 중앙은행들과 비교하면 그래도 일정한 공간(여유)이 있다"는 판궁성 인민은행장의 언급을 소개하기도 했다.

| 정성조 특파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Hot

인기 트럼프, 미일 안보조약에 또 불만…"우리만 수백조원" 부풀리기

04.11 | 이도연 기자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日정부 "美관세조치, 세계 경제·무역체제에 큰 영향"

04.09 | 경수현 특파원
Hot

인기 日정부도 내일 尹탄핵심판 결과 주시…"한일외교 영향 우려"

04.03 |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아시아, 상호관세 직격탄 맞나…성장률 최대 1.3%p 하락 가능성

03.31 | 주종국 기자
Hot

인기 美 "한국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 애도…주한미군도 지원 준비"

03.28 | 강병철 특파원
Hot

인기 파리 '차없는 거리' 500곳 추진…"출퇴근 불편"vs"친환경 지지"

03.24 | 이신영 기자
Hot

인기 "美 4월2일 상호관세, 한국 등 가능성…자동차 등 품목관세는 보류"

03.24 | 고동욱 기자
Hot

인기 日언론 '한총리 탄핵기각' 신속 보도…"대행의 대행 체제 끝나"

03.24 |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日의원, '윤봉길추모관' 설립 반발…"테러리스트 추도 수용못해"

03.10 | 박상현 특파원
Hot

인기 이스라엘·하마스, 긴장 고조 속 2단계 휴전협상 준비

03.10 | 김용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