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북한 원산갈마지구 대형호텔 17곳 중 6곳만 완공된 듯"

   

NK뉴스 보도…이름 안붙은 11개 건물 중 김정은 방문 싱가포르호텔 유사 건물도

2025.07.04 13:06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북한 원산갈마지구 대형호텔 17곳 중 6곳만 완공된 듯"

 2025-07-04 10:52

NK뉴스 보도…이름 안붙은 11개 건물 중 김정은 방문 싱가포르호텔 유사 건물도

PYH2025070308530004200_P4.jpg
북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야경

 지난 1일 개장한 북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십리백사장에 해안관광을 즐기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근로자들이 끊임없이 찾아와 연일 흥성이고 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일 보도했다. 2025.7.3

원본프리뷰

 북한이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강원도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의 대형 호텔 17개 중 6개만 완공된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북한전문매체 NK뉴스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K뉴스는 북한 외국문출판사가 공개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안내' 지도를 보면 대형 호텔 17개 중 11개에는 이름이 명시돼 있지 않다며 현재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NK뉴스는 지난 4월 공개된 관광지도에는 이름이 명기된 대형 호텔이 5곳이었다면서 그 이후로 대형 호텔 한 곳만 추가돼 6개 호텔의 개장이 준비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그래픽으로 정리된 지도를 보면 6개 대형 건물에는 친선호텔, 을밀봉호텔 등의 이름이 붙어 있으며 이름이 붙지 않은 고층 건물 여럿에는 이름이 없다.

NK뉴스는 이름이 붙지 않은 대형 호텔 중 한 곳은 싱가포르의 명소 마리나샌즈베이호텔을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김 위원장이 2018년 1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싱가포르를 찾을 때 직접 방문하고는 건설을 지시한 것이라고 전했다.

지도에는 '룡봉려관' 등 37개의 대형 여관도 표시돼 있는데 지난 4월 지도에는 17개 여관만 이름이 붙은 상태였다면서 여관은 외국인보다는 내국인 관광객을 위한 것일 수 있다고 NK뉴스는 지적했다.

NK뉴스는 "6년의 준공 지연을 초래한 자원 부족이 계속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북한 당국이 외국인 관광객을 대규모로 받아들일 의향이 아직 없다는 뜻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달 24일 김 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준공식을 열었다.

이달부터 내국인에 우선 개방하고 러시아 관광객들이 오는 7일 외국인으로는 처음 방문할 예정이다. 당초 2019년 4월 15일 김일성 생일에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대북제재에 따른 자재 수급 차질 등으로 완공이 미뤄졌다.

PYH2025070201220004200_P4.jpg
북한 원산갈마관광지구안내도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안내' 지도를 북한 외국문출판사가 운영하는 '조선의 출판물' 홈페이지에 2일 공개했다. 관광지구는 명사십리휴양구역 1과 2로 나뉘어 각종 숙박시설과 체육·레저시설은 물론 영화관과 같은 문화 공간이 조성됐다. 2025.7.2 

(끝)

| 강요셉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Hot

인기 '총리 퇴진 내홍' 日자민당, 8일 의원총회…"연휴 개최" 불만도

08.0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일본 등 쓰나미 경보·긴급 대피령(종합)

07.30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트럼프 "연준의장 물러나면 좋겠지만 해임시 시장동요 가능성"

07.17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여당 참의원 과반 유지 어려워" 日언론 판세 분석 확산

07.16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미국서 가상화폐 기업들 은행업 진출 서두른다

07.14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비트코인 파죽지세…11만6천 달러선도 사상 첫 돌파(종합)

07.11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트럼프 "나머지 모든 국가, 15%든 20%든 관세 지불해야"(종합)

07.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美관세' 브라질 커피 韓수출 늘리나…공급가 하락 가능성 주목

07.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방미 협상단 귀국…상호관세 협상시간 벌었지만 美압박은 여전

07.10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영국·프랑스, 러시아 위협 맞서 핵전력 조율 사상 첫 합의

07.10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