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신냉전 속 美 이어 EU도 필리핀과 관계 개선…"해상안보 강화"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필리핀 방문해 마르코스와 회담

2023.07.31 16:2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dfbc65c0597750a0130a662b50d9ebee_1690788039_673.jpg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부부


미중간 신냉전 기류 속에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필리핀과의 해상 안보 협력을 강조하며 관계 개선에 나섰다


남중국해에서 해양 진출을 강화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로이터·AP통신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31(현지시간필리핀을 찾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과 회담했다.


이번 방문은 EU와 필리핀 간 외교무역안보 등 전반적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마르코스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뤄졌다고 양측 정부 관계자들은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정보 공유위협 평가해안 경비대 역량 강화를 통해 필리핀과 이 지역의 해상 안보 협력을 강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과 중국은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에서 계속 마찰을 빚고 있으며필리핀은 중국의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 최근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이번에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을 초청한 것도 그 연장선 상에서 EU와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필리핀과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에 관한 2016년 국제 상설중재재판소(PCA) 판결을 지지한다고 재확인했다.


당시 필리핀은 남중국해의 90%가 자국 해역이라고 주장하는 중국을 제소했으며재판소는 중국의 이런 입장이 유엔 해양법 협약에 위배된다고 판결한 바 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이날 "강압의 위협이 없는 인도·태평양은 우리의 모든 안정평화번영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마르코스 대통령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전체 전력의 35%까지 늘리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EU가 필리핀의 기후 변화 대응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의 필리핀 방문은 그간 EU가 인권 탄압 등의 이유로 필리핀을 비판해 악화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신호탄으로도 풀이된다


마르코스 대통령의 전임자인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대통령(2016~2022)은 임기 6년 동안 마약과의 유혈 소탕전을 벌였고 그 결과 6천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EU가 이를 인권유린이라고 비판하자 필리핀은 내정간섭이라며 EU의 개발 원조를 거부하고 필리핀 주재 EU 외교관들을 추방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아울러 EU 의회 의원들은 두테르테 전 대통령을 비난하다가 마약 관련 범죄 혐의로 수감됐던 레일라 데 리마 전 법무부 장관 겸 상원의원을 석방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EU보다 앞서 미국도 필리핀과 관계 개선에 나섰다.


두테르테 전 대통령 집권 시절 친중 행보를 보였던 필리핀은 지난해 6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취임 이후 다시 미국과 동맹을 강화하고 있다


필리핀은 지난 2월 군사기지 4곳에 대한 사용권을 미국에 추가로 제공하고 지난 4월에는 미국과 합동 군사훈련을 하는 등 미국과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일본필리핀이 첫 해상 훈련을 펼쳤다.


중국은 필리핀의 친미 행보를 경계하고 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7일 두테르테 전 대통령과 회담하기도 했다.

| 이도연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캄보디아 당국 "한국인 80여명 이민국에 구금 중…귀국 거부"

10.15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급거 방미' 조현 외교장관, 9일 아닌 10일에 美국무 면담

09.10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日언론, 김정은 열차편 방중 가능성 촉각…"단둥시 경비 강화돼"

09.0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北문제 제한없이 필요한 얘기 다 할 것…길 만들어야"

08.25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아야…진심 어린 위로가 중요"

08.2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지방경찰 태평양전쟁 위안소 운영 개입 추정 문서 발견"

08.20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美국방부 당국자, 방위비 문제에 "韓과 진전될 것…日은 불충분"

08.19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중국 특사단 25일께 파견…시진핑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할 듯

08.18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미국 동전에 첫 한국계 여성…장애인권 운동가 '지혜씨' 밀번

08.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제약사,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 파킨슨병 신약 신청

08.06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