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英왕세자빈 암투병 고백에 온라인 음모론자들 '머쓱'

   

틱톡, 페북 이용자들 포스팅 지우며 "부끄럽다" "왕실 홍보담당이 문제" 지적도…왕세자측 …

2024.03.25 13:2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945f0b8b5fee57b2f364e959c5fbe948_1711340563_6252.jpg 

영국 케이트 왕세자빈의 투병 고백을 다룬 신문


윌리엄 영국 왕세자의 부인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이 암 투병을 고백하자 그의 신상을 두고 각종 음모론을 제기했던 이들이 머쓱한 상황이 됐다


케이트 왕세자빈은 22(현지시간소셜미디어 공식계정에 영상 메시지를 올려 암 투병 사실을 직접 밝혔다


지난 1월 수술을 받고 입원한 뒤 공무에 나서지 않자 위중설부부 불화설 등 온갖 루머가 돌던 참이었다


42세로 아직 젊은데다 평소 건강미가 넘치던 왕세자빈이 직접 전한 암투병 소식에 케이트 왕세자빈을 화젯거리로 삼았던 이들은 당황스러운 기색을 보이며 이전에 내뱉은 말을 황급히 거둬들였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케이트 왕세자빈의 성명이 발표된 후 틱톡페이스북인스타그램엑스(X·옛 트위터등 플랫폼 이용자 수천명이 과거 자신의 발언에 유감을 표했다고 23(현지시간전했다


X에선 린다 야카리노 최고경영자(CEO)가 나서 "케이트 왕세자빈 특유의 우아함으로 전달한 용감한 메시지"라며 "아이들을 보호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개인정보를 보호해달라는 요청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 조지아주에 거주하는 다나(58)는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얼마 전 케이트 왕세자빈의 소문에 대해 친구들과 키득거리며 웃었던 게 부끄럽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얼마 전 암으로 엄마를 잃었다나는 어떤 종류의 인간인가나의 비인간적인 행동에 충격을 받았다"고 자책했다


다나는 "소셜미디어가 문제다가장 불쾌한 말을 자유롭게 내뱉고는 자신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라며 "우리가 계속 확산시키는 것은 이 끔찍한 에너지"라고 덧붙였다


스레드에 케이트 왕세자빈에 대한 음모론을 올렸던 작가 퀸 커밍스는 해당 게시물을 내리고 "내가 틀렸다"고 말했다


커밍스는 다만 왕실 홍보 부서의 무능함을 언급하면서 "그들은 고(다이애나비(의 죽음)에서 배운 게 단 하나도 없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945f0b8b5fee57b2f364e959c5fbe948_1711340587_1133.jpg 

지난해 11 21일 영국 윌리엄 왕세자와 케이트 왕세자빈의 모습


지난달 케이트 왕세자빈이 성형수술을 받았다는 내용의 트윗을 썼던 아일랜드의 타라 그레이스(26) "(내가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며 해당 트윗을 지웠다


그레이스는 이메일에서 "나는 위선자가 되고 싶지 않고 온라인 대화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지도 않다" "특히 어린 세 자녀를 둔 젊은 여성에 대해 악의적으로 굴거나 불편하게 만들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사과했다


모두가 입장을 바꾼 것은 아니다스탠드업 코미디언이자 TV 작가인 스카일러 히글리는 케이트 왕세자빈의 '미스터리'에 대한 자신의 농담을 전혀 후회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히글리는 "암은 심각한 것이긴 하지만우리는 암에 대해 농담을 한 게 아니었다" "버킹엄궁에서 공식적으로 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관한 농담이었다"고 주장했다


켄싱턴궁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내고 케이트 왕세자빈의 투병 공개 후 영국을 비롯해 전세계에서 쏟아진 대중의 따뜻함과 지지에 왕세자빈과 윌리엄 왕세자가 큰 감동을 받았다고 밝혔다

| 김연숙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캄보디아 당국 "한국인 80여명 이민국에 구금 중…귀국 거부"

10.15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급거 방미' 조현 외교장관, 9일 아닌 10일에 美국무 면담

09.10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日언론, 김정은 열차편 방중 가능성 촉각…"단둥시 경비 강화돼"

09.0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北문제 제한없이 필요한 얘기 다 할 것…길 만들어야"

08.25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아야…진심 어린 위로가 중요"

08.2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지방경찰 태평양전쟁 위안소 운영 개입 추정 문서 발견"

08.20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美국방부 당국자, 방위비 문제에 "韓과 진전될 것…日은 불충분"

08.19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중국 특사단 25일께 파견…시진핑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할 듯

08.18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미국 동전에 첫 한국계 여성…장애인권 운동가 '지혜씨' 밀번

08.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제약사,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 파킨슨병 신약 신청

08.06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