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이스라엘 각료 "3월 라마단까지 인질 석방 안되면 라파 지상전"

   

지상전 예고 이후 첫 '시점' 제시…카타르 "매우 위험한 시간 될 것" 우려

2024.02.20 14:4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00f39a67170b513d3b3935a0845041aa_1708407724_9842.jpg 

베니 간츠 이스라엘 국가통합당 대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소탕을 목표로 가자지구 최남단 라파에 대한 지상전을 예고한 가운데 단행 시점을 이슬람 금식성월 라마단으로 제시한 이스라엘 각료의 언급이 나왔다.


19(현지시간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전시내각에 참여한 베니 간츠 국가통합당 대표는18일 미국계 유대인 단체와 만나 "라마단까지 우리의 인질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전투는 계속되고 라파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사실을 국제사회와 하마스 지도부는 알아야만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민간인 사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이집트의 파트너들과 대화하면서 민간인 대피를 용이하게 하는 등 조율된 방식으로 그것(전투)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스라엘군의 라파 전투에 대해 "치러야 할 비용이 너무 크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분명히 말한다" "하마스에는 항복하고 인질을 석방하는 선택지가 있고, (그렇게 한다면가자 주민들은 거룩한 명절인 라마단을 축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간츠 대표의 언급은 이스라엘이 라파 지상전을 예고한 이후 구체적인 작전 착수 시점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WSJ이 강조했다.


라마단은 이슬람교에서 천사 가브리엘이 예언자 무함마드에게 코란을 가르친 달로이슬람교도는 이 기간 낮 동안 금식 등으로 신성한 시간을 보낸다.


올해 라마단은 다음 달 10일께 시작될 예정이다


이스라엘이 이같이 라마단을 겨냥하는 것은 하마스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슬람교도가 다수인 팔레스타인인들이 기리는 '성스러운 달'을 위협해 하마스의 심리적 부담을 키우고자 한다는 것이다


실제 네타냐후 총리는 올해 라마단 기간 아랍계 주민들의 이슬람 3대 성지 알아크사 사원 방문 제한을 결정했다.


국내 정보기관인 신베트는 라마단 기간 아랍계 주민의 성지 방문을 제한할 경우 갈등을 고조시킨다며 반대했지만 네타냐후 총리는 이를 무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간츠 대표가 제시한 일정이 네타냐후 총리를 비롯한 내각과 군의 실제 계획이라면 라파 지상전을 피하기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00f39a67170b513d3b3935a0845041aa_1708407760_1053.jpg 

라파 피란민촌에 있는 사람들


휴전 및 인질 석방 협상안에 대한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 간극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이스라엘이 요구하는 전면적 항복 요구를 하마스가 수용할 가능성은 현저히 낮기 때문이다.


영국 BBC 방송은 중동 및 서방국 관리들을 인용해 현재 협상이 교착 상태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라파 지상전에 따른 민간인 피해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집트와 맞닿은 라파는 가자지구에 구호물자를 지원하는 주요 관문이자 전쟁을 피해 남부로 내려온 팔레스타인 민간인이 몰려있는 곳이다


마틴 그리피스 유엔 인도주의·긴급구호 사무차장은 이스라엘군의 라파 지상전은 '학살'로 이어질 수 있으며 가자지구에서의 인도주의적 노력은 "죽음의 문턱에 놓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확전 가능성을 경계해온 중동국들 역시 가자지구의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휴전 협상 중재국인 카타르의 셰이크 무함마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총리 겸 외무장관은 "우리는 라마단을 앞두고 있다" "라파의 상황이 변하게 된다면 역내 매우매우 위험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라마단을 계기로 서안지구까지 충돌이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아이만 사파디 요르단 외무장관은 "서안지구는 폭발을 기다리는 화약고"라며 "만약 폭발한다면 게임은 끝난다"고 지적했다.

| 서혜림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국제 > 관광.국제
관광.국제

캄보디아 당국 "한국인 80여명 이민국에 구금 중…귀국 거부"

10.15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급거 방미' 조현 외교장관, 9일 아닌 10일에 美국무 면담

09.10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日언론, 김정은 열차편 방중 가능성 촉각…"단둥시 경비 강화돼"

09.0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北문제 제한없이 필요한 얘기 다 할 것…길 만들어야"

08.25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아야…진심 어린 위로가 중요"

08.2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지방경찰 태평양전쟁 위안소 운영 개입 추정 문서 발견"

08.20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美국방부 당국자, 방위비 문제에 "韓과 진전될 것…日은 불충분"

08.19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중국 특사단 25일께 파견…시진핑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할 듯

08.18 | 서순복 기자
Hot

인기 미국 동전에 첫 한국계 여성…장애인권 운동가 '지혜씨' 밀번

08.11 | 강요셉 기자
Hot

인기 日제약사,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 파킨슨병 신약 신청

08.06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