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2일(수)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국방
국방

당국 "'군 맹물백신' 탓에 재접종한 10명, 현재 특이반응 없어"

   

"이상반응 염두에 두고 모니터링 중…지침 따라 추가접종 이뤄져"

2021.06.16 10:2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위 사진은 아래 기사 내용과 무관합니다. [해군 3함대사령부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30세 미만 군 장병 백신 접종

위 사진은 아래 기사 내용과 무관합니다. [해군 3함대사령부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군 병원의 실수로 화이자 백신 원액이 극소량만 포함된 주사를 맞은 30세 미만 장병 21명 중 재접종한 10명이 현재까지 이상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박영준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이상반응조사팀장은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10일 재접종을 하고 난 다음 현재까지 군 자체적으로 1일 3회 이상 이상반응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특이한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 팀장은 "이미 백신을 맞은 사람이 중복으로 맞으면 허용된 용량보다 많이 투여됐기 때문에 이상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현재 모니터링을 진행 중"이라며 "1주일간 계속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이상반응이 나타날지를 예측하기 쉽지는 않다"면서도 "기존 이런 사례들을 보면 크게 이상 없는 상태로 지나간 경우가 많았고, 면역반응이 좀 더 강하게 일어나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통증, 전신증상 등이 일부 나타날 수 있지 않을까 염두에 두고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국군대구병원에서는 지난 10일 30세 미만 장병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화이자 백신 접종 과정에서 군 병원 측의 실수로 6명이 백신 원액이 극소량만 포함된 주사를 맞았다.

그러나 군 병원은 이들 6명을 특정할 수 없어 보건당국 지침에 따라 동시간대에 접종한 장병 21명 가운데 재접종을 희망한 10명에게 다시 백신을 맞도록 했다.

이에 최소 4명, 많게는 10명 모두 이미 정량의 백신을 맞았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백신 과다 투여에 따른 부작용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와 관련 국군의무사령부는 재접종을 하지 않은 나머지 11명에 대해서는 동의자에 한해 3주 뒤 항체 형성 여부를 다시 검사해 확인하기로 했다.

군 관계자는 "11명 중 항체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인원은 1차 접종부터 다시 접종할 방침"이라며 "항체가 형성된 인원은 1차 접종이 정상 시행된 것으로 보고 2차 접종을 정상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박 팀장은 '군 병원의 재접종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추진단과 협의가 있었느냐'는 질의에 "현재 예방접종시행지침에 따라 해당 사안은 관할보건소에 신고하고 지침을 문의, 답변을 받은 이후 과소접종으로 추정되는 케이스여서 추가접종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현재 군에서 세부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조사하고, 또 후속조치, 보완계획들을 마련 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동일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서울=연합뉴스) 유현민 정빛나 기자 hyunmin623@yna.co.kr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국방
국방

한미, 연합훈련 사전연습 돌입…北김여정 "배신에 유감"

2021.08.10 | 유현민 김경윤 기자

방한 예정 영국항모 괌 도착…美 칼빈슨호 태평양으로

2021.08.09 | 김귀근 기자

한미, 내일부터 연합훈련 사전연습 돌입…합참 주도

2021.08.09 | 유현민 기자

前주한미군사령관 "주요 훈련시설 주한미군 접근제한 제거돼야"

2021.07.30 | 백나리 특파원

군, 코로나19 확진자 1명 추가…누적 1천498명

2021.07.30 | 김귀근 기자

취임 1년 이인영…적극적 메시지에도 北무응답에 '제자리 걸음'

2021.07.26 | 배영경 기자

대낮 국방부 수용시설서 수용자 사망…군 관리소홀 책임론 커져

2021.07.26 | 김귀근 기자

'통제 물자' 군 레이더용 질화갈륨 집적회로 국산화 추진

2021.07.23 | 박주영 기자 jyoung@yna.co.kr

"군내 코로나 확진 급증…청해부대 빼도 8개월 만 최고"

2021.07.23 | 한지훈 기자 hanjh@yna.co.kr

셔먼 美부장관 "한미일공조, 北에 분명한 메시지 보냈다"

2021.07.21 | 김호준 특파원 ho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