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국방
국방

30년 넘은 군공항 항공관제레이더, 국산 첨단제품으로 바꾼다

   

방사청, 최초 양산물량 전력화 완료…야간에도 안전 착륙 지원

2022.04.29 09:26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30년 넘은 군공항 항공관제레이더, 국산 첨단제품으로 교체한다
30년 넘은 군공항 항공관제레이더, 국산 첨단제품으로 교체한다

30년 이상 운용되고 있는 군 공항의 수입산 항공관제레이더가 국내기술로 독자 개발한 첨단 제품으로 교체된다.

방위사업청은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항공관제레이더(PAR·정밀접근레이더) 최초 양산 물량을 공군에 전력화했다고 29일 밝혔다.

항공관제레이더는 공항 관제 구역 내 운항 항공기에 대한 착륙관제 및 야간·악기상 시 안전한 착륙을 지원하기 위해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 착륙 시까지 정확한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정밀하게 착륙을 유도하는 장비다.

이번에 인도된 레이더는 2012년 방위사업청과 LIG넥스원이 약 200억 원을 공동 투자해 핵심 구성품을 모두 국산화해 2017년에 개발을 마쳤다.

기존 오래된 수입산 장비와 비교하면 성능이 향상된 게 특징이다.

특히 기존 장비는 하나의 송신관을 이용하는 수동위상배열(PESA) 방식이 적용됐지만, 개발된 장비는 수백 개의 반도체 송신기를 이용한 능동위상배열(AESA) 방식이 적용돼 운용성 및 효율성이 대폭 향상됐다. 전원장치 등은 이중화돼 생존성도 높아졌다.

아울러 원격으로 감시하는 기능도 있어 정비분야의 자동화 및 효율성도 향상됐다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레이더의 국내 개발 뿐 아니라 관련 첨단기술 개발을 지속 추진해 국방력 강화와 관련 산업발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정빛나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국방
국방

국방부, 김정은 'NLL 허용불가' 발언에 "어떤 경우에도 수호"

2024.01.17 | 김호준 기자
Hot

인기 '9·19 합의' 파기 기로…北, 완충구역내 사격으로 노골적 위반

2022.10.14 | 김지헌 기자
Hot

인기 군 코로나19 확진 1천114명 추가…누적 14만3천138명

2022.05.12 | 정빛나 기자
Hot

인기 [尹정부 출범] 첫 전군주요직위자회의 개최…北핵실험 준비 끝낸듯

2022.05.10 | 김지헌 기자
Hot

인기 마크로젠, 6·25 전사자 유가족 유전자검사…국방부 용역

2022.05.09 | 문다영 기자
Hot

인기 미 국방부, 사드 추가배치 질문에 "계획 있다고 믿지 않는다"

2022.05.06 | 박수윤 기자
Hot

인기 한미 국방장관, 北미사일 논의…"연합방위태세 향상위해 공조"

2022.05.06 | 정빛나 기자
Hot

인기 공군 "F-4·5 노후 전투기 도태시기 3~5년 단축 가능"

2022.05.04 | 하채림 기자
Hot

인기 서욱, 새 사무실로 첫 출근…국방부, 이번주 '연쇄이동' 끝낸다

2022.05.02 | 정빛나 기자
Now

현재 30년 넘은 군공항 항공관제레이더, 국산 첨단제품으로 바꾼다

2022.04.29 | 정빛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