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2일(수)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성김 美대북특별대표, 일본 측과 통화…"한반도 비핵화 재확인"

   

바이든 인선 발표 직후 업무 개시…직함에 북 공식 영문 'DPRK' 사용

2021.05.26 09:38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연합뉴스 자료사진]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북한 문제 등을 논의했다고 국무부가 25일(현지시간) 밝혔다.

국무부 동아태국 트위터에 따르면 김 특별대표는 후나코시 국장과 통화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다른 중요한 이슈에 대한 공동의 약속을 재확인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1일 문재인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이 대북특별대표를 맡는다고 깜짝 발표했다.

이번 통화는 김 특별대표가 바이든 대통령의 인선 발표와 함께 업무에 본격적으로 들어갔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시 '특사'(Special Envoy)'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국무부 트윗에는 직함이 '대북특별대표'(Special Representative for the DPRK)로 나와 있다.

또한 전임인 스티븐 비건 전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 때는 직함에 북한을 'North Korea'라고 썼지만, 이번에는 북한의 대외 공식 명칭인 'DPRK'(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한 점도 눈에 띈다.

김 특별대표는 인도네시아 대사를 지내던 중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일인 지난 1월 20일 동아태 차관보 대행을 맡았다.

이후 지난 2월 19일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후나코시 국장과 한미일 첫 외교당국 3자 회의를 화상으로 하는 등 바이든 정부의 새 대북정책 수립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바이든 인선 발표후 자리 일어서는 성김 대북특별대표(맨 오른쪽)

[로이터=연합뉴스]


jbryoo@yna.co.kr 

|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민주 "'한동훈 사퇴 요구'는 선거법 위반…尹대통령 고발할 것"

2024.01.29 | 홍지인 한혜원 기자

與, '86' 표적 출마 잇따라…한동훈표 전면전 현실화하나

2024.01.29 | 차지연 김철선 기자
Hot

인기 '尹韓 갈등'에 김경율 거취 주목…비대위원 유지 놓고 당내 이견

2024.01.23 | 차지연 최평천 김철선 기자
Hot

인기 민주 "野방심위원 해촉은 방송장악…尹고발·헌법소원 검토"

2024.01.23 | 설승은 한주홍 기자

與, 이재명 '우리 북한' 발언에 "안보 망언…'우리 국민'에 사과하라"

2024.01.22 | 차지연 기자

尹대통령-한동훈 난기류 돌출…韓, '마이웨이' 의지 재차 천명

2024.01.22 | 차지연 류미나 기자

한동훈 "김경률, '개딸 민주당 얼굴' 정청래와 마포을 대결"

2024.01.17 | 홍정규 김철선 기자
Hot

인기 野, 정부 노란봉투법·방송3법 재의요구에 "尹 반헌법적 대통령"

2023.12.01 | 한혜원 한주홍 기자
Hot

인기 與, '증거 없었다' 이재명에 "당황한 피의자의 현실부정"

2023.09.13 | 김연정 류미나 기자
Hot

인기 교원단체 만난 김기현 "교권 4법, 21일 본회의 통과 목표"

2023.09.13 | 이유미 곽민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