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바이든, 내달 하순 방일할듯…한국서 첫 한미정상회담 개최 무게(종합2보)

   

5월24일께 日서 쿼드정상회의 개최 언급…회의 전후 한국 방문 관측 박진 "한미, 조기 정상회담에 공감"…성…

2022.04.12 11:28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0f6f9c7bc7b15479e816ae5f0c0ddb1f_1649730399_6447.jpg 

인도 총리와 화상 회담하는 바이든 대통령

[워싱턴 UPI=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4일께 쿼드(Quad)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일본을 방문하겠다는 의향을 드러냈다.
 

  이때 한국도 찾을 가능성이 상당해 내달 하순에 윤석열 정부의 첫 한미정상회담이 개최될지 주목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인은 내달 10일 대통령에 취임할 예정이므로 내달 하순에 한미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역대 정권 가운데 가장 이른 시일 내 한미정상회담을 개최하게 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11일 오전(현지시간) 화상으로 진행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5월 24일께 일본에서 만나길 고대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백악관은 회담 후 보도자료에서 두 정상이 늦은 봄에 일본에서 쿼드 정상회의를 위해 대면 회담을 하기를 기대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5월 24일이라고 못 박아 두 정상이 도쿄에서 만난다고 보도했다.
 

  쿼드는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4개국의 대(對)중국 견제 협의체로,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정상급 회의체로 격상될 정도로 바이든 행정부가 공을 들이고 있는 기구다.
 

  쿼드 정상은 지난 3월 화상 회담에서 올해 봄에 일본에서 대면 회담을 하기로 합의했지만, 그간 구체적인 날짜가 거론된 적은 없었다.
 

  총선을 앞둔 호주의 정치적 상황이 일정 조율의 어려움으로 작용한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열어 다음 달 21일 총선을 치르기로 했다고 밝혀 호주 총선으로 인한 일정의 불확실성은 사라졌다.
 

  바이든 대통령의 언급대로라면 호주 총선 직후인 다음 달 24일께 쿼드 정상회담 개최가 논의 중이거나 이미 윤곽을 잡았다는 말이 된다. 


0f6f9c7bc7b15479e816ae5f0c0ddb1f_1649730428_4185.jpg

한미정책협의단 귀국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한미정책협의대표단 단장인 국민의힘 박진 의원 등이 1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로 귀국해 방미 성과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김인철 기자]



  바이든 대통령의 일본행이 관심을 끄는 이유는 일본 방문을 전후해 한국을 찾을 가능성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외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할 때 한국도 함께 들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고, 바이든 행정부가 일본 방문을 계기로 한국을 찾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입장을 견지한다는 전언도 나왔다.
 

  한국 역시 이런 방안에 긍정적인 입장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이 미국에 파견한 한미정책협의대표단 박진 단장은 지난 7일 특파원 간담회에서 "조기 한미정상회담 개최 필요성에 대해선 한미 양국이 공통으로 생각하는 부분"이라고 양측 분위기를 전했다.
 

  박 단장은 또 "바이든 대통령이 아시아를 방문하는 계기가 있으면 한국을 방문해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이야기했고, 미국 측에서도 같은 시각에서 생각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미국과 바이든 대통령 방한을 논의하고 있는지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 방일 일정이 잡히면 논의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아직 바이든 대통령의 방일 일정이 공식화되지는 않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쿼드 정상회의 개최 시기가 사실상 가시권에 들어온 만큼 한미가 방한 조율에 조만간 돌입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작년 1월 취임 후 한국과 일본 정상을 미국으로 각각 초청해 정상회담을 가졌지만, 아직 양국을 직접 방문하진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면 윤 당선인과 바이든 대통령 간 첫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다. 이 경우 역대 대통령 중 취임 이후 가장 이른 시일 내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51일 만에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고,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71일 만에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과 첫 회담을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임기 개시 54일 만에, 노무현 전 대통령은 79일 만에 회담했다. 



| 류지복 특파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Hot

인기 성일종 "대장동 개발이익이 횡재…이재명이 횡재세 내야"

2023.01.27 | 홍정규 안채원 기자
Hot

인기 이재명 "국민들 난방비 폭탄…취약계층 난방비 신속 지원해야"

2023.01.25 | 김남권 정윤주 기자

주호영 "'UAE 주적 이란' 수없이 나온 말…野, 이간질 그만해야"

2023.01.25 | 김연정 안채원 기자
Hot

인기 검찰, '위례·대장동 의혹' 이재명에 소환 통보

2023.01.16 | 이대희 기자
Hot

인기 검찰 "정진상 권력 사유화…이재명 관련성 조사 당연히 필요"

2022.11.23 | 최찬흥 이대희 조다운 기자
Hot

인기 경찰청·국회, 집시법 개정 토론회…'금지장소·소음' 논의

2022.11.17 | 이미령 기자
Hot

인기 野 3당, 김의장 만나 '국정조사 결단' 요구…"경종 울려야"

2022.11.15 | 고동욱 정수연 기자
Hot

인기 외교부, '강제동원 배상해법 모색' 민관협의회 오늘 출범

2022.07.04 | 김효정 기자
Hot

인기 북핵대표부터 정상까지…한미일, 북핵위기속 '릴레이 회동' 예상

2022.05.30 | 오수진 기자
Hot

인기 북한, '대만문제' 중국 편들기…"美의 내정간섭 용납안돼"

2022.05.10 | 박수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