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기시다, 한일대립 꼴사납다는 점 알 것…극적 변화는 난망"

   

기무라 간 교수 '유네스코 유산 한일대립 때 한국과 타협' 주목

2021.09.30 12:3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일본 자민당 내 리버럴…외무성에 외교정책 주도권 돌려줄 수도" 



(도쿄 AP=연합뉴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전 정조회장이 29일 오후 일본 도쿄(東京)의 한 호텔에서 열린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총재로 당선된 후 발언하고 있다. 기시다는 내달 4일 일본 제100대 총리로 선출된다.
일본 집권당 총재로 당선된 기시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전 정조회장이 29일 오후 일본 도쿄(東京)의 한 호텔에서 열린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총재로 당선된 후 발언하고 있다. 기시다는 내달 4일 일본 제100대 총리로 선출된다.

 


일본 차기 총리 취임을 앞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집권 자민당 신임 총재는 한일 관계 개선을 지향하는 인물이라고 일본 전문가는 평가했다.

한일 역사 인식의 뿌리 깊은 차이나 자민당 내 역학 구도 등을 고려하면 한일 관계가 극적으로 개선할 가능성은 작지만 기시다가 장기적으로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무라 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무라 간(木村幹) 교수

[기무라 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일 관계 전문가인 기무라 간(木村幹) 고베(神戶)대 교수는 "기시다는 일본과 한국이 역사 문제로 언제까지나 대립하는 것이 국제사회에서 얼마나 꼴사나운 일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미일의 협력을 방해한다는 것을 감각적으로 알고 있을 것"이라고 29일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기시다가 자민당 내에서 가장 '리버럴'(liberal)에 가까운 파벌의 영수이며 미국에서 유년기를 보낸 국제파이기도 하다는 점을 거론하고서 이같이 분석했다.

자유주의자·진보주의자 등을 의미하는 리버럴은 일본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하는 이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

기무라 교수는 피폭지인 히로시마(廣島)에 연고를 둔 기시다가 2016년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했을 때 '통역 없이' 안내하는 등 전쟁의 부정적 유산에 큰 관심을 둔 인물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2015년 7월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록하는 문제를 놓고 한국과 일본이 대립했을 때 "적어도 기시다가 이끄는 외무성은 한국과의 타협을 모색"했고 그 결과 '강제로 노역했다'(forced to work)는 의미의 영문 표현이 들어갔다고 상기했다.

기무라 교수는 "기시다가 상명하달(上命下達) 형의 지도자가 아니며 아까 당선 소감을 말할 때 '기시다 후미오의 특기는 남의 이야기를 제대로 듣는 것'이라고 했다"면서 "외교정책의 주도권을 총리관저에서 외무성에 돌려주는 방향으로 나갈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서울=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의 당사자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64) 전 외무상이 내달 초 일본 총리로 취임한다.<BR>    일본 집권 자민당은 29일 도쿄의 한 호텔에서 실시한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를 27대 총재로 선출했다.<BR>    기시다 전 외무상은 이달 30일 총재 임기를 마치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의 뒤를 잇는 자민당 당수로 취임하며 내달 4일 소집 예정인 임시 국회에서 제100대 일본 총리로 선출된다.<BR>    사진은 2015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일 외교장관 합의 당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왼쪽).  2021.9.29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차기 일본 총리에 '한일 위안부 합의' 기시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의 당사자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64) 전 외무상이 내달 초 일본 총리로 취임한다.
일본 집권 자민당은 29일 도쿄의 한 호텔에서 실시한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를 27대 총재로 선출했다.
기시다 전 외무상은 이달 30일 총재 임기를 마치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의 뒤를 잇는 자민당 당수로 취임하며 내달 4일 소집 예정인 임시 국회에서 제100대 일본 총리로 선출된다. 사진은 2015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일 외교장관 합의 당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왼쪽).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 시절 경제산업성 출신이 주축이 된 총리 관저가 외교 정책을 주도하고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강화 등을 강행했는데 외무성의 중심이 되면 분위기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인 셈이다.

기무라 교수는 하지만 기시다가 총리로 취임하더라도 빠른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그는 한일 양국 국민의 상대국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으며, 중요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기시다가 관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설 유인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역사 갈등의 근원 중 하나로 꼽히는 한일 청구권 협정에 대한 일본 정부의 해석은 매우 견고하기 때문에 누가 일본 총리가 되더라도 바꾸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기무라 교수는 역사 갈등을 풀기에 앞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더불어 사실상 중단된 연간 1천만 명 규모의 인적 교류를 회복하는 것이 매우 큰 의미가 있으며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전인 "내년 5월까지 (한일 교류를 재개하는 ) 작업을 하기에 기시다는 나쁜 상대는 아니다"고 논평했다. 



| 이세원 특파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주중대사 "한중, 시진핑 방한 코로나 안정되면 추진 공감"

2021.10.06 | 조준형 특파원

외교차관 "북한, 당장이라도 군사공동위 나와 대화해야"

2021.10.06 | 한상용 기자

"일본 수출규제후 교역-투자↓…3개 규제품목 수입액 큰 변화없어"

2021.10.05 | 권희원 기자

기시다, 바이든과 첫 통화…취임 외교 본격 시동

2021.10.05 | 박세진 특파원

노규덕 "종전선언, 북한과 신뢰구축 조치 중 가장 효과적"

2021.10.01 | 한상용 기자

김부겸 "일본 기시다, 한일관계 발전에 큰 역할 기대"

2021.10.01 | 김호준 특파원
Now

현재 "기시다, 한일대립 꼴사납다는 점 알 것…극적 변화는 난망"

2021.09.30 | 이세원 특파원

중국, 한중북핵협의서 "북한의 합리적 관심사 중시해야"

2021.09.30 | 조준형 특파원

역대 주유엔대사들 "한국, 국제사회서 선진국 걸맞은 역할해야"

2021.09.29 | 김동현 기자

日신문, 징용 문제로 제3국 포함 중재위 개최 재검토 제안

2021.09.29 | 김호준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