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역대 주유엔대사들 "한국, 국제사회서 선진국 걸맞은 역할해야"

   

한미저널 '유엔 가입 30년' 인터뷰…"향후 30년은 질적도약의 시간"

2021.09.29 12:37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뉴욕=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기조연설 하는 문 대통령

최재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역대 유엔 주재 대사들은 올해 유엔 가입 30주년을 맞아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당부했다.

조태열 전 대사(2016년 12월∼2019년 10월 재임)는 29일 발행된 외교안보 계간지 '한미저널 8호'에서 "지난 30년의 유엔 외교가 먼저 가입한 나라들을 따라잡기 위한 속도전이었다면, 향후 30년은 질적 도약을 위해 내실을 다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격상시킨 결정은 우리가 앞으로 선진국에 걸맞은 역할을 제대로 해내는지 지켜보겠다는데 더 방점이 찍혀 있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시영 전 대사(1998년 4월∼2000년 2월)는 "정부는 자국 중심적 외교를 벗어나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나 정부 간 기구로 젊은 영재의 진출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강대국과 약소국의 중간 위치에서 함께 번영하는 국제사회를 지향하는 모습을 온 세계에 보여 줌으로써 국제사회에서 독특한 존재로서의 인식을 넓혀나가는 방향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사들은 유엔의 대북 제재 등을 활용해 북한 비핵화를 끌어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오준 전 대사(2013년 9월∼2016년 12월)는 "북한에 제재 탈피를 위해서는 핵·미사일 포기 이외에는 출구가 없음을 분명히 하면서 북핵 문제 종식 시 적극적 경제 협력이 가능하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시영 전 대사는 "그동안 유엔을 통한 북한 제재조치는 어느 정도 효과도 있어왔고 앞으로도 협상카드로서 활용할 값어치가 있다"며 "협상은 하되 어디까지나 상호 공평하게 단계별로 추진하는 카드로서의 값어치를 극대화하는 지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김동현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주중대사 "한중, 시진핑 방한 코로나 안정되면 추진 공감"

2021.10.06 | 조준형 특파원

외교차관 "북한, 당장이라도 군사공동위 나와 대화해야"

2021.10.06 | 한상용 기자

"일본 수출규제후 교역-투자↓…3개 규제품목 수입액 큰 변화없어"

2021.10.05 | 권희원 기자

기시다, 바이든과 첫 통화…취임 외교 본격 시동

2021.10.05 | 박세진 특파원

노규덕 "종전선언, 북한과 신뢰구축 조치 중 가장 효과적"

2021.10.01 | 한상용 기자

김부겸 "일본 기시다, 한일관계 발전에 큰 역할 기대"

2021.10.01 | 김호준 특파원

"기시다, 한일대립 꼴사납다는 점 알 것…극적 변화는 난망"

2021.09.30 | 이세원 특파원

중국, 한중북핵협의서 "북한의 합리적 관심사 중시해야"

2021.09.30 | 조준형 특파원
Now

현재 역대 주유엔대사들 "한국, 국제사회서 선진국 걸맞은 역할해야"

2021.09.29 | 김동현 기자

日신문, 징용 문제로 제3국 포함 중재위 개최 재검토 제안

2021.09.29 | 김호준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