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0일(월)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정치
정치

아프간주재 한국대사관 잠정폐쇄…공관원 대부분 제3국 철수

   

"재외국민 1명 철수 위해 대사 등 일부 공관원 안전 장소서 본부와 소통"

2021.08.16 13:41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15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 진입하고 아프간 정부가 사실상 항복을 선언하는 등 사태가 급변하면서 현지 한국대사관이 잠정 폐쇄됐다.
 

(서울=연합뉴스)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15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 진입하고 아프간 정부가 사실상 항복 선언을 하는 등 사태가 급박하게 전개되자 현지 한국대사관에도 비상이 걸렸다.<BR>    카불 주재 한국대사관은 사태가 악화하면 철수조치를 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BR>    사진은 아프가니스탄 라그만 지방의 탈레반 대원들. 2021.8.15 [AFP=연합뉴스] photo@yna.co.kr
아프간 사태 급박 전개에 한국대사관도 비상…외교부 "예의주시"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15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 진입하고 아프간 정부가 사실상 항복 선언을 하는 등 사태가 급박하게 전개되자 현지 한국대사관에도 비상이 걸렸다.
카불 주재 한국대사관은 사태가 악화하면 철수조치를 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아프가니스탄 라그만 지방의 탈레반 대원들. 2021.8.15 [AFP=연합뉴스] photo@yna.co.kr

 


외교부는 이날 밤 공지를 통해 "정부는 아프가니스탄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어 15일 현지 주재 우리 대사관을 잠정 폐쇄키로 결정하고 공관원 대부분을 중동 지역 제3국으로 철수시켰다"고 밝혔다.

다만, 외교부에 따르면 아프간에 체류 중인 재외국민 1명의 안전한 철수 등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대사를 포함해 일부 공관원이 현재 안전한 장소에서 본부와 긴밀히 소통 중이다.

정부는 또한 이들의 안전한 철수를 위해 미국을 포함한 우방국들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프간에 체류했던 교민 대부분은 정부가 지난 6월 철수를 요청한 이후 현지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탈레반 세력이 아프간 전역을 장악하고 나서 이날 카불까지 진입하고 아프간 정부 측이 사실상 항복 선언을 하는 등 현지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카불 함락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현지 주민은 패닉 상태에 빠졌고 국제공항에는 국외로 탈출하려는 사람들이 몰려드는 등 혼란이 커지고 있다.

미국과 영국, 독일 등 현지에 있는 각국 대사관도 철수를 서두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대사관은 이날 본격적으로 철수를 시작했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를 지원하기 위해 미군 5천명 배치를 승인했다.

영국 정부도 로리 브리스토 아프간 주재 자국 대사를 16일 저녁 전까지 아프간에서 탈출시킬 것으로 전해졌다.

하이코 마스 독일 외무장관은 아프간 주재 자국 대사관 직원과 외교관 대피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한상용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정치
정치

주중대사 "한중, 시진핑 방한 코로나 안정되면 추진 공감"

2021.10.06 | 조준형 특파원

외교차관 "북한, 당장이라도 군사공동위 나와 대화해야"

2021.10.06 | 한상용 기자

"일본 수출규제후 교역-투자↓…3개 규제품목 수입액 큰 변화없어"

2021.10.05 | 권희원 기자

기시다, 바이든과 첫 통화…취임 외교 본격 시동

2021.10.05 | 박세진 특파원

노규덕 "종전선언, 북한과 신뢰구축 조치 중 가장 효과적"

2021.10.01 | 한상용 기자

김부겸 "일본 기시다, 한일관계 발전에 큰 역할 기대"

2021.10.01 | 김호준 특파원

"기시다, 한일대립 꼴사납다는 점 알 것…극적 변화는 난망"

2021.09.30 | 이세원 특파원

중국, 한중북핵협의서 "북한의 합리적 관심사 중시해야"

2021.09.30 | 조준형 특파원

역대 주유엔대사들 "한국, 국제사회서 선진국 걸맞은 역할해야"

2021.09.29 | 김동현 기자

日신문, 징용 문제로 제3국 포함 중재위 개최 재검토 제안

2021.09.29 | 김호준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