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새 관저로 서울 용산구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을 유력 후보지로 놓고 본격적인 검토에 나섰다.
인수위 관계자는 20일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외교부 장관 공관을 대통령 관저로 검토하는지에 대해 "가장 합리적인 대안으로 보고, 검토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애초 후보지로 검토됐던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은 경호·의전 문제나 리모델링 기간 등을 고려한 결과 후순위로 밀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그곳(육군참모총장 공관)이 1975년도에 지어져 너무 노후화돼 종합적으로 많은 불합리한 점이 발견됐다"고 언급했다.
이어 "대안으로 경우의 수는 6개밖에 없다"며 "외교장관 공관은 작년에 리모델링했다. 가장 합리적인 대안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남동에 외교부·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해병대 사령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공관 등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 가운데 외교장관 공관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는 의미다.
최지현 인수위 수석부대변인도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경호나 의전, 리모델링 기간,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육군참모총장 공관이 불합리한 점이 많은걸로 확인돼 대안으로 외교장관 공관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다른 대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 외교장관이 공관을 사용 중이기 때문에 윤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일에 바로 입주하는 것은 어려울 전망이라는 것이 인수위 측 설명이다.
원일희 인수위 수석부대변인은 "외교장관 공관으로 설사 (관저가) 최종 결정되더라도 5월 10일 취임식에 맞춰 바로 입주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게 상식적 추론"이라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일정 기간 현 서초동 자택에서의 출퇴근은 불가피할 것으로 연동돼 예상이 된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이 현재 서초동에서 출퇴근하는 동선으로 움직인다면 "교통 통제를 최소화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원칙은 유지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와 함께 한남동 공관촌에 있는 해병대 사령관 관저는 경호동으로 사용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 관저가 이곳으로 확정될 경우 외교장관은 다른 공관으로 관저를 이동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장관 공관에서는 방한한 해외 고위인사와 주한외교단 등을 위한 외교 행사가 빈번히 열리기 때문에 대체 공간을 찾는 작업도 필요하다.
인수위 관계자는 "후속 조치는 미정"이라며 "순차적으로 어떻게 될지가 미정"이라고 언급했다.
관저 신축 문제에 대해선 "별개 문제로, 중장기 과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내달 20∼21일께로 전망되는 한미정상회담 장소에 대해선 "회담 자체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장소와 관련한 사실관계는 확인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