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항공전문인력 양성사업'에 입과한 교육생 10명 중 3명만이 조종사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장경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항공전문인력 양성사업 입과 인원 1천553명 중 항공사 조종사 취업 인원은 484명으로 나타났다. 입과 인원 대비 합격률은 31.2%에 그쳤다.
항공전문인력 양성사업은 정부가 항공우주 기술인력 및 국제항공 전문가를 확보하기 위해 유휴 공항인 울진비행장을 활용해 항공사 부기장급 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국고보조금 지원 사업으로 11년간 216억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수료 인원은 1천71명으로 입과 인원 중에 69.0%만 훈련을 수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률은 첫해인 2010년 65.8%를 기록했으나 점차 낮아져 2017년 18.0%에 그쳤으며, 2018년부터는 취업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종사 양성에는 보통 1년 반 내지 2년이 걸리며, 2018년 이후 입과한 조종인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항공사 채용시장 동결로 아직 취업 인원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 의원은 "항공전문인력 양성사업은 인력수급 불균형을 예방하고 항공산업 발전의 저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교육훈련 수련 이후 항공사 조종사 취업으로 연결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 양성 조종인력 및 취업 현황 (올해 8월 말 기준, 단위: 명, %)
구분 | 입과 | 수료 | 취업(취업률) |
2010년 | 82 | 61 | 54 (65.8) |
2011년 | 72 | 57 | 45 (62.5) |
2012년 | 131 | 98 | 81 (61.8) |
2013년 | 123 | 74 | 45 (36.5) |
2014년 | 146 | 124 | 70 (47.9) |
2015년 | 151 | 130 | 88 (58.2) |
2016년 | 163 | 141 | 65 (39.8) |
2017년 | 200 | 169 | 36 (18%) |
2018년 | 181 | 143 | 0 |
2019년 | 179 | 73 | 0 |
2020년 | 125 | 1 | 0 |
합 계 | 1,553 | 1,071 | 484 (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