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대통령실
대통령실

尹대통령-한동훈 대화 여부 주목…친윤 "갈등 수습할 것"

   

정부·여당 내 총선공멸 위기 고조…대통령실 "파국 피해야" 비주류 일각, 명품백 논란 해법 요구…친윤, 확전…

2024.01.23 12:58 입력

09a4bbfd2a191a728e570f26306a49ed_1705982275_0329.jpg

총선을 70여일 앞두고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논란으로 당정 갈등이 촉발되면서 여권 내에서 이번 사태를 그대로 둘 경우 총선에서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민의힘 친윤(친윤석열)계 주류는 23일 갈등을 봉합하고 수습할 것이라며 확전을 자제했고대통령실 역시 당과 물밑 대화를 이어 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의 한 비대위원장 사퇴 요구를 비판했던 당내 인사들도 당정 갈등을 그대로 안고갈 경우 총선 패배로 이어질 것이라는 인식에 공감하고 있다.


당 친윤계 인사들은 지난 주말 한 비대위원장의 사퇴 요구로 절정에 달했던 갈등이 수습 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평가하며 일단 봉합에 나선 모습이다.


친윤 핵심 이철규 의원은 KBS 라디오에 나와 "아주 긍정적으로 잘 수습이 되고 봉합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한 친윤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갈등 확산은 보기 좋지 않아서 당과 대통령도 중지를 모으고 있는 것 같다" "양측이 논의하면서 좋은 방향성을 가지고 가는 것 같다"고 전했다.


대통령 당선인 수행 실장을 지낸 이용 의원은 이날 예정된 기자회견도 취소했다친윤계인 이 의원이 비대위 운영의 문제를 제기할 계획이었지만확전 자제와 사태 수습이 먼저라는 여권 주류의 의견에 회견을 취소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 의원은 지난 주말 당 소속 의원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 '윤 대통령이 한 위원장에게 실망해 신뢰와 지지를 철회했다'는 기사를 링크하며 대통령실에 힘을 실어준 바 있다.


당내 친윤계의 행보는 대통령실이 최근 당의 전략공천과 관련해 특혜 시비를 주의해야 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내고한 위원장 사퇴를 요구한 것과 비교하면 한발 물러선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두고 당심이 과거와 달리 '윤심'으로 모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지난 3·8 전당대회에서 친윤 주도 '연판장 사태'로 나경원 전 의원을 겨냥했을 때와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친윤이 사태 수습 의지를 보이는 상황에서 한 위원장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도 주목된다.


한 위원장은 전날 사퇴하지 않고 비대위원장 임기를 완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로는 당정 갈등 상황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친윤계가 사태 수습을 하자는 메시지를 던졌지만당내에서 명품백 논란에 대해 김 여사나 대통령실이 입장 표명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변수다.


최근 국민의힘에 입당한 이상민 의원은 SBS 라디오에서 "김 여사가 함정에 빠진 피해자라고 생각하지만 백을 주고받고 한 상황이 있었다귀책 사유는 김 여사한테도 피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사과까지는 아니더라도 경위를 소상히 밝히는 해명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철수 의원도 CBS 라디오에서 "가방에 대해서는 진정 어린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며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단순하게 비대위원장 진퇴를 놓고 싸우는 것은 정말 국민에게 부끄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 당직자는 통화에서 "명품백 논란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없이 대통령실과 당이 절충안을 마련해 화해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용산이 화내고용산에서 수습하려고 하는데 명품백 논란이라는 본질도 용산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대통령실은 피해자인 김 여사가 직접 사과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 위원장이 지난 17일 서울시당 신년 인사회에서 김경율 비대위원의 서울 마포을 출마를 공개 지지한 것 역시 절차상 문제가 명확하다는 게 대통령실의 입장이다.


윤 대통령 역시 최근 참모진에게 '부정 입찰등의 표현을 써가며 이에 대해 상당한 문제의식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의 발언 취지는 '사천'(私薦논란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양측의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대면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측에서도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회동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후 소통의 핵심은 결국 만나야 한다는 것"이라며 "언론을 통한 소통이 아닌 직접 소통을 위한 정지 작업이 필요하고그걸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최평천 김철선 곽민서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정치 > 대통령실
대통령실
Hot

인기 대통령실 "내년 R&D 예산 역대 최고 수준 편성"

2024.04.03 | 정아란 곽민서 기자

尹대통령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 무제한·무기한 투입"

2024.04.02 | 정아란 곽민서 기자

尹 "의료계, 더 타당한 안 가져오면 얼마든 논의…통일안 내야"

2024.04.01 | 정아란 곽민서 기자
Hot

인기 尹 "GTX-A 개통, 대중교통 혁명의 날…요금부담 2천∼3천원대로"

2024.03.29 | 곽민서 기자
Hot

인기 尹 "용인·수원·고양·창원 특례시 권한 확대…특별법 제정"

2024.03.25 | 정아란 곽민서 이동환 기자

野, 황상무 사의에 "'칼틀막' 사과없어…언론장악 기술자 건재"

2024.03.20 | 정수연 기자

尹대통령, 블링컨 접견…"더 나은 민주주의 위해 긴밀히 협력"

2024.03.18 | 정아란 기자

尹 대통령, 종교지도자들에 “민생문제 위해 힘 모아달라”

2024.03.12 | 박상민 기자
Hot

인기 尹 "국가·근로장학금 확대…기업 출산지원금 전액 비과세"

2024.03.05 | 정아란 곽민서 기자
Hot

인기 尹대통령, 의료계 집단행동에 "자유에는 책임 따른다"

2024.03.04 | 곽민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