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정치 > 대통령실
대통령실

尹 "질문 더 하시죠"…예상시간 훌쩍 넘겨 73분 일문일답

   

차분한 어조로 비교적 막힘없이 답변…표정 굳거나 단호한 말투도 사회자가 끝내려 하자 추가 질문 자청…언론에 '소통' 유화 제스…

2024.05.09 16:53 입력

fe21c48cd4a3516b2bdf0fe3aecec7f4_1715241003_2745.jpg 

취임 2주년 기자회견윤 대통령에게 쏟아지는 질문


윤석열 대통령의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은 약 1시간 40분에 걸쳐 이어졌다회견에 앞서 약 20분간 대국민 메시지 발표를 제외하고 현안 자유 질의응답만 70분을 넘겼다.


앞으로 국정 추진 계획부터 부인 김건희 여사 의혹 등 여러 현안에 대해 비교적 적극적이고 진지하게 답변했다.


또 민생고에 대한 유감 표명으로 대국민 메시지를 시작하는 등 시종일관 이전보다 몸을 낮춘 자세로 '소통'을 부각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회견은 취임 2주년 국민보고 형식의 모두발언과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됐다


야권을 중심으로 '자화자찬'이 대부분이라는 비난이 나온 기존 연설문과 달리 6220자 분량의 국민보고 중 지난 2년의 성과를 설명하는 부분은 1990여 자로 전체의 3분의 1에 그쳤다.


3분의 2는 향후 3년간의 국정 운영 방향을 소개하는 데 할애했다특히 '민생' 14차례 언급하며 민생에 방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국민보고의 첫 문장을 '요즘 많이 힘드시죠?'라는 의문문으로 시작했고, '봄은 깊어 가는데민생의 어려움은 쉬 풀리지 않아'라고 하는 등 평이하면서도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는 듯한 모습이었다.


fe21c48cd4a3516b2bdf0fe3aecec7f4_1715241031_3635.jpg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 국민보고


논리와 이성 위주의 딱딱한 문장으로 구성됐던 기존 윤 대통령 연설문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표현이다이는 국민의 이해와 공감을 끌어내고 불통·독선 등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의 국민보고는 집무실 책상에 앉은 채 20여분 간 이뤄졌다짙은 남색 양복에 붉은색 넥타이 차림이었다.


책상 앞면에는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라는 글귀를 새긴 명패가 놓였다이 명패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5월 방한 당시 윤 대통령에게 준 선물이다.


윤 대통령은 국민보고에서 "저와 정부부터 바꾸겠다", "어떤 질책과 꾸짖음도 겸허한 마음으로 더 깊이 새겨듣겠다등 발언으로 몸을 낮췄다어조는 차분했고메시지를 발표하는 동안 정면을 응시했다


윤 대통령은 본격적인 질의응답을 위해 브리핑룸에 도착하자마자 출입기자들에게 "질문 준비를 많이 하셨습니까오랜만에 하는 거니까 질문을 충분히 받겠습니다"라고 인사했다.


fe21c48cd4a3516b2bdf0fe3aecec7f4_1715241086_4551.jpg 

윤석열 대통령 국민보고 시청하는 수석비서관들


윤 대통령은 쏟아지는 질문들을 들으며 미소를 띠거나 고개를 끄덕이며 경청하는 모습을 보였다또 진지한 어조로 여러 민감한 질문에 비교적 긴 시간을 할애해 답변을 이어갔다.


특검과 이종섭 호주대사 임명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 등 주제 질문에는 잠시 머뭇거리는 모습도 있었다.


윤 대통령은 "답변을 길게 할 수밖에 없는 질문을 하신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신가?" 등 가벼운 농담으로 무거운 분위기를 환기했다.


그러면서도 민감한 질문이 나올 땐 종종 표정이 굳거나 다소 목소리가 높아졌고팔을 들어 발언 의미를 강조하기도 했다질의응답이 진행될수록 손짓과 좌우를 쳐다보는 횟수도 초반부보다 잦아졌다.


질의응답에서 주제 제한은 없었다모든 기자가 시작 때부터 질문을 하려고 일제히 손을 들었고사회자인 김수경 대변인이 정치·외교안보·경제·사회 분야 순서로 시간을 분배해 진행했다.


윤 대통령은 질문 20개 중 대부분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을 했지만유일하게 외신기자가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할 경우를 가정해 차기 방위비분담금 협상 방향을 물은 데 대해서만 "공개적으로 답변하기 어렵다"며 즉답하지 않았다.


초반부터 정치 분야 질문이 집중됐는데, 30분 정도 질문과 답변이 오간 후 김 대변인이 끊고 "외교안보 분야로 넘어가겠다"며 외신기자들에게 질문 기회를 줬다.


질의응답 시간이 1시간을 넘어가자 김 대변인이 마무리하려 했으나윤 대통령이 먼저 "한 두분만 질문을 더 받자"고 했다.


이에 따라 질의응답에만 예상 시간인 1시간을 넘긴 1시간 13(73)이 소요됐다국민보고 약 20분을 포함해 회견 전체로는 총 1시간 30분 이상 진행된 것이다.


fe21c48cd4a3516b2bdf0fe3aecec7f4_1715241157_0944.jpg 

윤석열 대통령취임 2주년 기자회견


브리핑룸에는 기자들과 대통령실 참모를 포함해 154석의 자리가 마련됐다공간적 제한으로 출입기자단에서 매체당 기자 1명이 입장했다


의자만 배치되고 책상은 따로 두지 않아 입장한 기자들은 랩톱이나 태블릿을 가져가지 않았다.


정진석 비서실장성태윤 정책실장장호진 안보실장 등 대통령실 주요 참모들이 모두 회견장에 배석했다취재진과 참모들로 브리핑룸은 꽉 찼으며마련된 자리에 모두 앉지 못해 뒤편에 선 참모들도 있었다.


윤 대통령이 브리핑룸으로 입장할 때 참석 기자들과 참모진은 일어서서 윤 대통령을 맞았다일부 기자들은 박수를 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회견을 마치며 "지난 2년간 여러분이 많이 도와주셔서 고맙다앞으로도 이런 기회를 더 자주 만들어서 뵙겠다"고 인사한 뒤 단상에서 내려와 참석 기자들과 일일이 악수했다.


fe21c48cd4a3516b2bdf0fe3aecec7f4_1715241188_2152.jpg 

| 김승욱 김영신 곽민서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