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날카로운 설전이 눈길을 끌었다.
두 사람 모두 보수 진영의 차기 '대권 주자'로 꼽히는 터라 이들의 신경전을 둘러싸고 해석이 분분하다.
원 장관은 14일 '김포 골드라인 혼잡 완화 긴급 대책회의'에서 "현재 김포시 관할인 고촌∼개화는 버스전용차로로 지정됐으나 서울시가 관할하는 개화∼김포공항은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시는) 오늘 이 시간 이후로 미지정된 버스전용차로 구간을 즉각 전용차로 지정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회의는 '지옥철'로 불리는 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역에서 11일 출근길에 승객 2명이 호흡 곤란으로 쓰러지는 사고가 나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긴급히 열렸다.
밀집된 인파에 대한 사회적 불안이 큰 만큼 이날 나올 대책에 이목이 쏠린 상황에서 원 장관이 서울시, 사실상 오 시장이 이 문제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콕 집어 지적한 것이다.
서울시는 해당 발언이 보도되자 즉각 해명자료를 내 반박했다.
국토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와 김포시는 2021년 4월 서울시에 '서울 방향 시간제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설치를 협의 요청했으며 협의 결과 김포시에서 1∼2단계 구간 버스전용차로를 우선 설치해 지하철에서 버스로 분산되는지 효과를 검증한 후 서울시 구간을 재논의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이후 김포시나 대광위에서는 서울시에 추가로 버스전용차로 설치에 대해 협의해온 바 없다"며 책임을 서울시에 돌린 듯한 원 장관의 발언에 불쾌감을 내비쳤다.
오 시장과 원 장관의 신경전은 전날에도 있었다.
오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부처 칸막이를 깨야 행정 수준이 높아집니다'란 제목의 글에서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지 3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중앙집권제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꽤 있다"며 대표적인 사례로 국토부의 주택 실거래 정보를 꼽았다.
그는 "국토부는 이런 기본적인 데이터조차 개인정보보호를 이유로 서울시에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있다"며 "결국 서울시는 구청에 요청해 자료를 받고 있다는데, 기가 막힌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원 장관은 곧바로 '오 시장님의 페북 글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반박 글을 올렸다.
원 장관은 "저 역시 광역자치단체장을 경험했기에, 오세훈 시장의 문제의식에는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현행법상 지자체가 요청한다고 개인정보를 제한 없이 제공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오 시장의 비판을 일축했다.
또 "부처 칸막이를 깨야 행정 수준이 높아진다"는 비판에는 "윤석열 정부는 부처별 칸막이를 걷어내 행정 효율과 국민 편익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을 역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다"고 맞받았다.
서울시와 국토부는 대중교통, 부동산 등 이해관계가 첨예하고 유권자의 체감도가 높은 분야에서 엮이는 만큼 내년 총선이 다가올 수록 두 정치인의 선명성 경쟁이 가열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