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코로나 격무 끝 극단적 선택한 간호사…"위험 직무 순직"

   

故 이한나 간호사 유족, 인사혁신처 상대 소송 승소

2023.01.30 10:46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b08e092f1deaec3f7d17aeb0bcd5252e_1675043172_55.jpeg
코로나19 관련 격무에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을 한 고() 이한나 간호사가 법원에서 '위험직무 순직'으로 인정받았다.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8(이정희 부장판사)는 이씨의 유족이 인사혁신처장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을 이달 17일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부산 동구보건소에서 간호직 공무원으로 일하던 이씨는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 대응 및 관리 업무를 하다 2021 5월 극단적 선택을 해 숨졌다.


이씨는 사망 전 6개월간 460시간(월평균 76.6시간)의 초과 근무를 하고, 업무 부담이 큰 동일집단(코호트) 격리 관리자로 지정되는 등 과로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유족은 같은 해 7월 이씨를 위험직무 순직자로 인정해달라며 유족급여를 청구했다.


그러나 인사혁신처는 이씨를 위험직무 순직자가 아닌 일반 순직자로 인정하고, 위험직무순직에 따른 유족급여는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공무원재해보상법이 정한 '생명과 신체에 대한 고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직무를 수행하다가 재해를 입고, 그 재해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법원은 이 같은 인사혁신처 처분이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망인은 언제든지 코로나19에 노출될 수 있다는 부담을 안고 감염의 공포와 싸우며 일해야 했다"며 이씨의 업무가 '위험 직무'라고 판단했다.


"(망인은) 명확한 방역 지침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감염 확산을 최대한 막아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업무에 임해야 했다" "정신적 스트레스의 강도도 상당히 높았을 것"이라고 봤다.


재판부는 결과적으로 "이씨가 과중한 업무량과 심리적 압박감으로 인식능력이 저하된 상태였다" "자해했다는 이유만으로 위험직무 순직 공무원에서 배제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 황윤기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24시간 경계" APEC 앞두고 경주 보문호에 해경 기동정 배치

10.15 | 서순복 기자

코레일, KTX-1 노후화 따른 차세대 고속차량 도입 방안 논의

09.26 |

복지장관 "연금개혁 적극참여…지속가능성·소득보장 같이 가야"

09.23 | 서순복 기자

질병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인체감염 감시 강화

09.15 | 서순복 기자

"쇠사슬 찬 모습에 가슴 철렁"…공항 달려나와 눈물 훔친 가족들

09.12 | 서순복 기자

'간첩누명 옥살이' 50년만 무죄 故최창일씨 유족에 형사보상

09.10 | 서순복 기자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09.01 | 서순복 기자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08.27 | 서순복 기자

보훈부, 감사원에 "독립기념관장 감사 적극 검토해달라" 송고시간 2025-08-21 09:50

08.21 | 서순복 기자

빛에 일렁이는 한강…10월 3∼12일 '서울라이트 한강 빛섬축제'

08.20 | 서순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