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스마트폰 금지로는 어린이의 건강한 기술 활용 준비 못 시켜"

   

전문가들 "휴대폰·SNS 제한 대신 건강한 사용 능력 배양에 중점둬야"

2025.03.28 11:4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554f17750045138988bb76bb92065c1_1743129573_0692.jpg

스마트폰 사용하는 청소년들


스마트폰 사용이나 소셜미디어 접속을 금지하는 것만으로는 어린이들이 미래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질 기술을 건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준비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버밍엄대 빅토리아 굿이어 교수 등 전문가들은 28일 의학 학술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어린이에게 안전하지 못하고 해롭다는 전제 아래 이를 금지하는 국가가 늘고 있으나 이는 근거가 부족하다며 적합한 교육으로 뒷받침되는 권리 기반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구팀은 최근 세계 각국에서 18세 미만 어린이·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소셜미디어 접근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와 튀르키예노르웨이스웨덴 등 여러 국가와 미국·캐나다 일부 지역에서는 학교 내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법률·정책·지침이 도입됐고 호주에서는 미성년자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새로운 법안이 제정됐다.


연구팀은 이런 제한 조치에는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어린이에게 안전한 환경이 아니라는 광범위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많은 정책 입안자와 학교학부모가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본질적으로 해롭다는 주장을 믿지만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는 명확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 예로 최근 영국의 학교 스마트폰 정책 평가에서 교내 스마트폰 사용 제한이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복지신체활동 및 수면교육 성취도교실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 교내 스마트폰 제한이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스마트폰 및 미디어 사용량 감소 또는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사용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에게 기술이 없는 시간과 공간은 중요하지만전면적인 제한은 "디지털 공간에 대한 아이들의 건강한 참여와 기술이 가득한 세상에서 청소년기와 성인기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대신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의 건전한 사용을 촉진하는 동시에 어린이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것을 권고하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따라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사용에 대한 권리 기반의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동 권리에 기반한 기술산업에 대한 법률을 개선하고 학교교사학부모가 아동의 건강한 기술 사용 개발과 향후 정책·접근 방식을 만드는 데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전문 교육 및 지침을 마련하는 게 시급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궁극적으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접근을 제한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던 논쟁정책관행을 어린이의 건강한 기술 사용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출처 : BMJ, Victoria A. Goodyear et al., 'Approaches to children's smartphone and social media use must go beyond bans', https://www.bmj.com/content/388/bmj-2024-082569

| 이주영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24시간 경계" APEC 앞두고 경주 보문호에 해경 기동정 배치

10.15 | 서순복 기자

코레일, KTX-1 노후화 따른 차세대 고속차량 도입 방안 논의

09.26 |

복지장관 "연금개혁 적극참여…지속가능성·소득보장 같이 가야"

09.23 | 서순복 기자

질병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인체감염 감시 강화

09.15 | 서순복 기자

"쇠사슬 찬 모습에 가슴 철렁"…공항 달려나와 눈물 훔친 가족들

09.12 | 서순복 기자

'간첩누명 옥살이' 50년만 무죄 故최창일씨 유족에 형사보상

09.10 | 서순복 기자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09.01 | 서순복 기자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08.27 | 서순복 기자

보훈부, 감사원에 "독립기념관장 감사 적극 검토해달라" 송고시간 2025-08-21 09:50

08.21 | 서순복 기자

빛에 일렁이는 한강…10월 3∼12일 '서울라이트 한강 빛섬축제'

08.20 | 서순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