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AI로 일자리 341만개 대체…고소득·고학력일수록 가능성↑"

   

KLI·KDI 토론회…"중장년 고용불안 해소 위해 임금 연공성 완화"

2024.07.15 15:08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801d2874eb9e9f470ba860c1669dff3_1721023684_1553.jpg
AI 일자리 대체


인공지능(AI) 기술로 우리나라 전체 일자리의 12%가량이 대체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삼일 한국은행 고용분석팀장은 15일 오후 한국노동연구원(KLI)과 한국개발연구원(KDI) '인구구조 변화다가오는 AI 시대의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 모색'을 주제로 연 토론회에서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오 팀장이 AI 특허정보를 활용해 직업별 AI 노출 지수를 산출한 결과국내 일자리 중 12%에 해당하는 약 341만개는 AI 기술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소득·고학력 근로자일수록 AI에 더 많이 노출됐다. AI 대체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이는 기존 기술(산업용 로봇·소프트웨어)과는 다른 특징으로, AI가 비반복적·인지적(분석업무를 대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오 팀장은 "새로운 기술은 기존 일자리를 대체하기도 하지만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한다" "AI 도입에 따른 일자리 대체 논의를 벗어나 AI를 활용한 생산성 증대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생산성 증대 방향으로 고용 재조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오 팀장은 "기존 체제나 기득권을 지키려다 보면 기술 변화의 영향이 급격하게 나타나면서 부정적인 충격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일자리 대체효과가 특정 그룹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교육과 직업 정책의 변화도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한요셉 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초고령사회에 대비하는 노동시장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중장년 노동시장이 생애 주직장으로부터의 이른 퇴직높은 임시직 비중의 특징을 지닌다고 짚었다.


남성의 경우 50대 이후 조기퇴직여성은 30대 후반 이후 경력단절 현상이 여전히 심각하며, 55∼64세 임금근로자 중 임시고용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약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노동 공급에 비해 수요특히 정규직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데서 기인한다.


한 연구위원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정규직 임금의 높은 연공성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어 중장년 대상 희망퇴직·명예퇴직 등을 시행할 사용자 측 유인이 높다" "정규직에 대한 강한 고용 보호는 전반적인 정규직 채용수요를 감소시켜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연구위원은 이런 상황에서 정년(60연장은 일부에게만 혜택이 집중되거나 양질의 일자리를 두고 세대 간 경합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한 연구위원은 정년 연장에 앞서 노동시장 구조 자체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정규직 임금의 과도한 연공성을 완화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고용 보호의 차별성을 축소하자는 것이다.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동일·유사 산업별 노사정 논의를 거쳐 직무 분석·평가·설계·보상의 인프라 구축하고 민간 부문으로 확산하자고도 덧붙였다.


한 연구위원은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시급하다" "생산성과 지나치게 괴리되지 않은 임금예측할 수 있고 합리적인 수준의 고용 보호로 점진적으로 이행해 정규직 노동수요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 송정은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24시간 경계" APEC 앞두고 경주 보문호에 해경 기동정 배치

10.15 | 서순복 기자

코레일, KTX-1 노후화 따른 차세대 고속차량 도입 방안 논의

09.26 |

복지장관 "연금개혁 적극참여…지속가능성·소득보장 같이 가야"

09.23 | 서순복 기자

질병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인체감염 감시 강화

09.15 | 서순복 기자

"쇠사슬 찬 모습에 가슴 철렁"…공항 달려나와 눈물 훔친 가족들

09.12 | 서순복 기자

'간첩누명 옥살이' 50년만 무죄 故최창일씨 유족에 형사보상

09.10 | 서순복 기자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09.01 | 서순복 기자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08.27 | 서순복 기자

보훈부, 감사원에 "독립기념관장 감사 적극 검토해달라" 송고시간 2025-08-21 09:50

08.21 | 서순복 기자

빛에 일렁이는 한강…10월 3∼12일 '서울라이트 한강 빛섬축제'

08.20 | 서순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