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오세훈 서울시장은 '수도권 주민은 서울시민'이라며 서울과 경기, 인천을 잇는 대중교통을 늘리는 데 많은 관심을 보여왔다. 앞서 사전 점검 때도 "서울로 출근해 일하는 경제인구까지 시민으로 생각하고 일하겠다"며 적극적인 교통 행정을 강조한 바 있다.
동행버스가 본격 운영하기 전인 오전 6시20분께 김포 풍무 홈플러스 앞은 아직 한산했다. 김포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주로 김포골드라인을 이용하는데, 이 열차는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높아 '지옥철'이란 악명이 붙기도 했다. 그러나 이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대중교통 수단은 마땅치 않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출발지에서는 버스에 오르는 승객이 없었다. 6시40분께 풍무 홈플러스를 출발하는 버스에 몸을 싣자 다음 정류장인 '서해1차아파트'부터 승객들이 하나둘 타기 시작했다. 이 버스는 총 7명의 승객이 이용했다.
서울동행버스 내부
승객들은 '집 앞에서 바로 서울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는 점을 만족스러워했다. 기존에도 서해1차아파트 등에 버스정류장은 있었지만 김포 내부를 순환하거나 일산으로 향하는 등 서울로 가는 버스는 찾기 힘들었다.
영등포구로 출퇴근하는 김서진(19) 씨는 "평상시 김포골드라인을 이용해 출근길이 복잡했다"며 "집 앞에 정류장이 있어 앞으로도 이용할 것 같다. 퇴근 시간대도 운영하거나 이런 버스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가족들과 일본 여행을 간다는 강모(49) 씨는 "김포공항을 가려 해도 김포골드라인을 타야 했는데 별로 좋은 기억은 아니었다"라며 "버스가 쾌적해서 좋다. 앞으로도 탈 것 같고 지금 같은 버스 노선이 더 많아지면 좋겠다"고 했다.
버스전용차로 운영 전 해당 차로를 이용하는 승용차와 오토바이
김포공항역에 도착하니 오전 7시10분으로 약 30분이 걸렸다. 버스전용차로 운영이 오전 7시부터 시작되는 만큼 아침 이른 시간에는 해당 차로에도 오토바이나 일반 승용차가 달려 '완전 버스전용'은 아니었다.
7시40분에 풍무 홈플러스를 출발하는 버스도 김포공항까지는 29분가량 걸려 큰 차이는 없었다. 버스전용차로가 운영돼 줄지어 선 승용차 옆으로 달렸지만 전용차로가 끊기는 구간에서는 예상치 못한 정체가 발생하기도 했다.
운행지역이 김포골드라인과는 다소 떨어진 만큼 여기서 김포골드라인을 이용해도 김포공항역까지는 25∼30분가량 걸린다.
다만 변화무쌍한 일반도로의 특성상 사고가 나거나 도로 통제에 들어가는 등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동행버스로도 김포공항역까지 가는 데 30분 이상이 걸릴 가능성도 있어 보였다.
승객들은 앞으로도 동행버스에 계속 타겠다며 만족감을 드러내면서도 장기적으로 출퇴근길 교통난을 해소할 근본 대책은 지하철을 확충하는 데 있다고 입을 모았다.
'버스 애용'을 선택한 문희찬(50) 씨는 "일반 지하철은 너무 혼잡해서 타기 싫다. 앞으로도 이 버스는 계속 탈 것 같다"면서도"시간이 걸리더라도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은 지하철을 연결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지하철파' 입장을 보인 김예진(28) 씨는 "버스를 늘린다고 해도 차가 막히는 건 어쩔 수 없다. 지하철이 가장 안정적인 수단"이라며 교통 당국이 지하철을 더 확충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