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보호출산제 시행 후 첫 생산 출생증서, 아동권리보장원에 이관

   

보호출산으로 태어난 아동, 성인 돼 정보공개 청구로 증서 확인 가능

2025.07.09 10:1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보호출산제 시행 후 첫 생산 출생증서, 아동권리보장원에 이관

 2025-07-09 10:00

보호출산으로 태어난 아동, 성인 돼 정보공개 청구로 증서 확인 가능

PYH2024071905410001300_P4.jpg
오늘부터 출생통보제·보호출산제 시행

 출생통보제와 보호출산제 시행을 시작한 19일 서울 동작구청에서 직원이 안내 포스터를 붙이고 있다.
출생통보제는 의료기관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동의 출생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제도다. 보호출산제는 아이를 키우기 힘든 임산부가 가명으로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돕는 제도다. 2024.7.19 


원본프리뷰


 아동권리보장원은 지난해 보호출산제 시행 이후 지역상담기관에서 만든 2024년생 아동들의 출생증서 51건의 이관을 마쳤다고 9일 밝혔다.

보호출산제는 아이를 키우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 임산부가 의료기관에서 가명과 관리번호(주민등록번호 대체 번호)로 산전 검진과 출산을 하고, 출생 통보까지 할 수 있게 한 제도로, 지난해 7월 시행됐다.

출생증서는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자 지역상담기관에서 임시 보관하고, 아동의 성본(姓本) 창설이 끝나는 시점에 아동권리보장원의 보존서고로 안전하게 이관된다.

이관된 출생증서는 향후 해당 아동이 성인이 돼 증서 공개청구를 신청하면 볼 수 있다.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보호출산으로 태어난 아동에게 출생증서는 또 하나의 탯줄과 같다"며 "지역상담기관에서 생산된 출생증서를 안전하게 영구 보존하고, 이관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아동이 성인이 된 후 정확하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끝)

| 조성숙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Now

현재 보호출산제 시행 후 첫 생산 출생증서, 아동권리보장원에 이관

07.09 | 조성숙 기자

삼성전자 어닝쇼크 남 일 아냐…車·철강·정유도 2분기 부진 전망

07.08 | 서순복 기자

김건희특검, '우크라 포럼 주최' 유라시아경제인협회 회장 소환

07.08 | 서순복 기자

AI가 치매 환자 돌본다…대전 서구 'AI 케어콜' 시행

07.07 | 박윤진 기자

납북자가족, 대북전단 중단 선언한다…8일 파주시와 공동회견

07.07 | 서순복 기자

네팔 카트만두대 교수진, 단국대병원 선진 의료시스템 견학

07.07 |

서울대 교수 4년간 56명 해외 대학으로 유출

07.07 | 서순복 기자

검찰 쓰나미 앞 반성문 쓴 검사장들…"잘못·자성…변해야한다"

07.04 | 박상미 기자

법원, 노상원 추가 구속여부 7일 심리…내란특검 기소 사건

07.04 | 서순복 기자

경기도일자리재단, 18일까지 뿌리기업 50곳 온라인 채용박람회

07.04 | 조성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