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살모넬라 식중독 5년간 8천명 육박…여름철 집중

   

2025.07.11 09:59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살모넬라 식중독 5년간 8천명 육박…여름철 집중

 2025-07-11 09:40

AKR20250711040200017_01_i.jpg
월별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현황('20~'24 누계)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원본프리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살모넬라 식중독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주로 증가한다며 예방을 위해 달걀 등 식재료 취급·보관 관리와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11일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2020년 이후 5년간(작년은 잠정)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은 총 204건 발생했고 환자 수는 7천788명이었다. 이 중 7~9월 여름철 발생 건수가 107건, 4천542명으로 절반을 웃돈 것으로 분석됐다.

살모넬라 식중독이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 129건(63%), 집단급식소 35건(17%), 즉석판매제조·가공업 10건(5%)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식품으로 달걀말이, 달걀지단 등 달걀 조리식품과 김밥, 도시락 등 복합조리식품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살모넬라는 가금류·포유류의 소화관 또는 물과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이다. 살모넬라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발열, 복통, 구토, 설사 등 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 달걀, 알 가공품 등 식재료 취급·보관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달걀을 구입할 때는 껍질이 깨지지 않은 신선한 상태의 달걀을 선택하고, 달걀에 표시된 산란 일자 및 소비기한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구입한 달걀은 즉시 냉장고에 넣어 다른 식재료와 닿지 않게 구분해서 보관한다.

음식점, 집단급식소 등에서는 대량으로 구입해 상온에 장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필요한 만큼만 구매해 보관온도를 지켜 짧은 기간 안(2~4주)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을 조리할 때 달걀·육류·가금류를 만지거나 달걀물(액란) 등이 묻은 손은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 등 세정제로 30초 이상 깨끗이 씻어야 하며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식재료, 조리된 음식 또는 조리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육류, 가금류 등은 중심 온도 75℃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 섭취하도록 하며, 달걀은 가급적 노른자와 흰자가 모두 단단해질 때까지 익혀 먹는 것이 좋다.

(끝)

| 서순복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권익위 "기간제교사 등 아동범죄 전과, 교육감도 조회 가능해야"

07.15 | 서순복 기자

'VIP 격노' 회의에 김용현 배석 확인…채상병 사건 관여했나

07.14 | 변지섭 기자

해경청, 북태평양 공해 불법어로 근절 국제공조 참여

07.14 | 조성숙 기자

'휴대전화 빌려줬을 뿐인데'…전화사기 피의자 전락 잇따라

07.14 | 박윤진 기자

광복 80주년 맞아 일장기 덧칠해 만든 '진관사 태극기' 전시

07.11 | 서순복 기자
Now

현재 살모넬라 식중독 5년간 8천명 육박…여름철 집중

07.11 | 서순복 기자

권익위 '서울역 쪽방상담소' 방문…기록적 폭염속 거주환경 점검

07.11 | 박상민 기자

질병청-국립암센터, 암 초과발생 모니터링·데이터 연계 협력

07.11 | 서순복 기자

"신천지 교회는 공익 저해"…과천시, 근거 입증 용역 진행

07.10 | 서순복 기자

'고액 알바' 유혹에 마약 나른 20대…1심서 징역 3년

07.09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