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접종해도 걸리는데" "부작용 걱정에"…추가 접종률 4.8% 그쳐

   

응답자 65% "개량백신 추가 접종 안 할 것"…정부, 접종률 제고 주력

2022.11.16 14:18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95315db07b8e610f22111e385cad349d_1668575921_9593.jpg

오미크론 변이 대응 개량백신 접종


정부가 코로나19 겨울 재유행에 대응해 동절기 추가 접종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있으나 국민은 기존 감염 경험과 이상 반응 우려 등으로 접종을 여전히 주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6일 여론조사 기관 한국리서치가 10 4(10.28∼31)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69차 코로나19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2차 이상 접종 완료자 중 동절기 오미크론 변이 대응 2가 백신(개량백신) 추가 접종을 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65%에 달했다.


2가 백신 접종을 안 하겠다는 응답은 9 3주에 58%, 9월 마지막 주에 63%에서 최근 조사에 65%까지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달리 2가 백신 추가 접종을 했거나 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35%에 그쳤다.

 

2가 백신 추가 접종 의향이 없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백신을 맞아도 감염되므로(34%) ▲ 접종 이상 반응 우려(28%) ▲ 잦은 백신 접종 부담(24%) ▲ 2가 백신 이상반응이 더 클까봐(22%) ▲ 이미 걸렸다 완치됐으므로(21%) 등을 꼽았다.


코로나19 백신 2차 이하 접종자 또는 미접종자들 역시 이상반응 우려(43%), 백신 효과 불신(38%), 기존 감염력(27%) 등을 접종 거부 사유로 들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러한 조사 결과를 전하며 "기존 접종 및 감염으로 획득한 면역은 시간이 지나 크게 감소하고 있고 신규 변이 유행으로 기존 면역만으로는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며 동절기 추가접종을 적극 권고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기준 전체 인구 중 대상자 대비 동절기 추가 접종률은 4.8%. 당국이 반드시 추가 접종이 필요하다고 보는 대상인 고위험군 접종률도 감염취약시설 11.0%, 60세 이상 고령층은 13.2%에 그치고 있다.


이는 2가 백신 추가 접종을 시행하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낮은 수준이다. 인구 대비 접종률로 보면 미국은 10.1%(9일 기준), 일본은 8.5%(10일 기준)이라고 방대본은 전했다.


정부는 접종률 제고를 위해 이달 21일부터 한달간 '집중 접종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


| 김영신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이재명 조여오는 檢수사에…與 "사필귀정" 野 "야당 탄압"

2022.11.17 | 류미나 정수연 기자

'희생자 모욕' 기소…2차 가해 범죄 첫 사례

2022.11.17 | 설하은 기자
Now

현재 "접종해도 걸리는데" "부작용 걱정에"…추가 접종률 4.8% 그쳐

2022.11.16 | 김영신 기자

검찰, '이재명 최측근' 정진상 구속영장

2022.11.16 | 이대희 이보배 기자
Hot

인기 부동산 규제 해제 경기지역 지자체 "환영"…당장 효과는 "글쎄"

2022.11.10 | 김인유 기자

北매체 "전략자산 추가 전개 간청 추태"…한미 SCM 비난

2022.11.08 | 이상현 기자

[이태원 참사] "고인의 명복을…" 서울 곳곳 분향소 설치

2022.10.31 | 고은지 기자

검찰 '블랙리스트 의혹' 유영민 前과기장관 소환

2022.10.28 | 김윤철 기자

주말 서울 도심서 양대노총 2만명 규모 집회…혼잡 우려

2022.10.28 | 박규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