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집중호우 지역 감염병 위험↑…"위생 수칙 철저히 지켜야"

   

임시시설 생활자는 안전한 음식물 섭취·손씻기 등 주의 필요

2025.07.18 10:1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집중호우 지역 감염병 위험↑…"위생 수칙 철저히 지켜야"

송고시간 2025-07-18 09:43

임시시설 생활자는 안전한 음식물 섭취·손씻기 등 주의 필요
집단설사 등 감염병 발생이 의심되면 보건소에 신고해야

PYH2025071800960005400_P4.jpg
빗물에 잠긴 전남 나주 도로

 호우 특보가 이틀째 발효된 18일 오전 전남 나주시 다시면 한 도로가 빗물에 잠겨 있다. 2025.7.18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질병관리청은 호우 위기경보 수준이 '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풍수해 감염병 유행 대응을 요청했다고 18일 밝혔다.

수해 발생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섭취함으로써 살모넬라균 감염증 같은 장관 감염증, A형 간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다.

장티푸스는 지난해 34건이 발생했고, 올해는 지난달까지 21건(잠정)이 나왔다.

세균성 이질은 지난해 41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34건이 발생했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조리 전· 후와 식사 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하고, 포장된 생수나 끓인 물, 익힌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설사, 구토 같은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경우 식재료 세척 등 조리 과정에 참여하지 않아야 하고, 오염된 물에 닿거나 약 4시간 이상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은 폐기해야 한다.

PYH2025071723130005400_P4.jpg
폭우에 잠긴 광주 도로

광주 전역에 극한 호우가 쏟아진 17일 오후 광주 북구 신용동 일대 도로가 침수돼 차량들이 물에 잠겨 있다. 2025.7.17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비가 내린 뒤 생긴 물웅덩이 등에서 모기가 증식하기 쉬우므로 말라리아나 일본 뇌염 같은 모기 매개 감염병에도 주의해야 한다.

수해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렙토스피라증, 안과 감염병이나 접촉성 피부병 감염 위험도 커진다.

렙토스피라증은 균에 감염된 설치류, 가축 등의 소변에 오염된 물이나 토양 등을 통해 전파된다. 특히 집중호우나 홍수 이후 오염된 물에 접촉할 경우 상처 부위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안결막 충혈 등을 동반하며 방치하면 중증합병증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렙토스피라증은 지난해 70건, 올해는 지난달까지 13건이 나왔다.

주로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유행하는 유행성 각결막염 등 안과 감염병은 23주차(6월 1∼7일) 이후 매주 줄고 있으나 호우나 장마로 습도가 높아지면 원인 바이러스인 아데노 바이러스 등의 생존 가능성이 커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피부나 눈·코의 점막이 설치류, 가축 등 배설물로 오염된 물에 노출되면 렙토스피라증이나 접촉성 피부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침수 지역에서 수해 복구 등 작업을 할 때는 피부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이재민 임시 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호흡기 감염병 집단발생을 막기 위해 손 씻기, 주기적인 환기 등 예방수칙을 따라야 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수해에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안전한 물·음식물 섭취와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이 집단으로 발생해 발열, 설사 등 증상이 있는 경우 보건소로 신속히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끝)

| 조성숙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코레일 밤새 복구작업…남부지역 일반·고속열차 모두 운행중지

07.18 | 조성숙 기자
Now

현재 집중호우 지역 감염병 위험↑…"위생 수칙 철저히 지켜야"

07.18 | 조성숙 기자

해병특검, 이철규 의원 압수수색…구명로비 관여 의심 정황

07.18 | 서순복 기자

내란특검, '평양무인기 투입' 김용대 드론사령관 피의자 소환

07.17 | 조성숙 기자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사업' 누리집 개설…현황 투명 공개

07.17 | 서순복 기자

'해병대 수색' 생존병사, 특검서 채상병 사건 상황 진술

07.16 | 박상민 기자

한여름에 달리는데 땀이 나지 않는다?…"열사병 위험 신호"

07.16 | 조성숙 기자

내란특검, 尹 3차 구인 시도·모스 탄 접견불허…기소 가능성

07.16 | 박상민 기자

경남경찰청,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가짜 문자' 주의 당부

07.16 | 벼지섭 기자

46억 횡령해 선물투자로 날린 건보공단 팀장 징역 15년 확정

07.15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