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보호출산제 시행 후 첫 생산 출생증서, 아동권리보장원에 이관

   

보호출산으로 태어난 아동, 성인 돼 정보공개 청구로 증서 확인 가능

2025.07.09 10:10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보호출산제 시행 후 첫 생산 출생증서, 아동권리보장원에 이관

 2025-07-09 10:00

보호출산으로 태어난 아동, 성인 돼 정보공개 청구로 증서 확인 가능

PYH2024071905410001300_P4.jpg
오늘부터 출생통보제·보호출산제 시행

 출생통보제와 보호출산제 시행을 시작한 19일 서울 동작구청에서 직원이 안내 포스터를 붙이고 있다.
출생통보제는 의료기관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동의 출생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제도다. 보호출산제는 아이를 키우기 힘든 임산부가 가명으로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돕는 제도다. 2024.7.19 


원본프리뷰


 아동권리보장원은 지난해 보호출산제 시행 이후 지역상담기관에서 만든 2024년생 아동들의 출생증서 51건의 이관을 마쳤다고 9일 밝혔다.

보호출산제는 아이를 키우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 임산부가 의료기관에서 가명과 관리번호(주민등록번호 대체 번호)로 산전 검진과 출산을 하고, 출생 통보까지 할 수 있게 한 제도로, 지난해 7월 시행됐다.

출생증서는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자 지역상담기관에서 임시 보관하고, 아동의 성본(姓本) 창설이 끝나는 시점에 아동권리보장원의 보존서고로 안전하게 이관된다.

이관된 출생증서는 향후 해당 아동이 성인이 돼 증서 공개청구를 신청하면 볼 수 있다.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보호출산으로 태어난 아동에게 출생증서는 또 하나의 탯줄과 같다"며 "지역상담기관에서 생산된 출생증서를 안전하게 영구 보존하고, 이관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아동이 성인이 된 후 정확하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끝)

| 조성숙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코레일 밤새 복구작업…남부지역 일반·고속열차 모두 운행중지

07.18 | 조성숙 기자

집중호우 지역 감염병 위험↑…"위생 수칙 철저히 지켜야"

07.18 | 조성숙 기자

해병특검, 이철규 의원 압수수색…구명로비 관여 의심 정황

07.18 | 서순복 기자

내란특검, '평양무인기 투입' 김용대 드론사령관 피의자 소환

07.17 | 조성숙 기자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사업' 누리집 개설…현황 투명 공개

07.17 | 서순복 기자

'해병대 수색' 생존병사, 특검서 채상병 사건 상황 진술

07.16 | 박상민 기자

한여름에 달리는데 땀이 나지 않는다?…"열사병 위험 신호"

07.16 | 조성숙 기자

내란특검, 尹 3차 구인 시도·모스 탄 접견불허…기소 가능성

07.16 | 박상민 기자

경남경찰청,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가짜 문자' 주의 당부

07.16 | 벼지섭 기자

46억 횡령해 선물투자로 날린 건보공단 팀장 징역 15년 확정

07.15 | 강요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