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캄차카 지진 규모 8.8에 달했는데…쓰나미 잠잠한 이유는

   

대규모 해저 산사태 없었거나 단층 이동 적었을 가능성

2025.07.31 10:1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캄차카 지진 규모 8.8에 달했는데…쓰나미 잠잠한 이유는

 2025-07-31 

대규모 해저 산사태 없었거나 단층 이동 적었을 가능성
정확한 분석에는 시간 필요…쓰나미 높이 재조사 필요 주장도

PTA20250730017901009_P4.jpg
캄차카 반도 규모 8.8 강진

[TASS=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지난 30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지역 캄차카반도에서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지만 예상보다 쓰나미가 잠잠해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확한 분석에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의 쓰나미가 상대적으로 '유순한' 이유에 대해 쓰나미를 유발하는 해저 산사태 없었거나 단층 이동이 다른 강진과 비교해 적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30일 보도했다.

국제측지 및 지구물리연맹(IUGG) 국제 쓰나미 위원회 부위원장인 알렉산더 라비노비치가 초기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번 캄차카 지진 당시 근처 쓰나미 높이는 4.5m 정도였다. 일본 주변의 쓰나미 파고는 0.3∼0.9m였으며 하와이 주변에는 1.5m∼1.8m 높이의 쓰나미가 발생했다.

지난 2011년 동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은 지역적으로는 최대 30m에 달하는 쓰나미를 유발한 바 있다.

아울러 이번 지진이 발생한 캄차카반도에서 지난 1952년 규모 9.0 지진이 있었는데 당시에는 쓰나미가 하와이까지 강타했다.

GYH2025073000080004400_P1.jpg
[그래픽] 러 캄차카 강진 쓰나미 경보·주의보 발령 현황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오호츠크해에 접한 캄차카반도에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근처 지역에 일부 재난이 발생했다.
러시아와 일본에는 쓰나미 경보와 함께 해안가 주민에 긴급 대피 명령이 떨어졌고, 하와이와 필리핀 등도 쓰나미에 대비 중이다.

AIJPG

지진 규모가 0.1 커지면 지진 에너지는 1.4배나 커지기 때문에 이번 지진을 규모 9.0을 넘겼던 과거 지진 사례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러시아 쓰나미 전문가 비아체슬라프 구시아코프는 이번 쓰나미 여파가 적었던 것에 의문을 표하며 대규모 해저 산사태가 부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해저 산사태로 인한 퇴적물과 암석의 수중 이동은 쓰나미 에너지를 최대 90%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같은 현상이 적거나 약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쓰나미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인 단층 이동의 변화가 적었을 수도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모델링 자료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약 480㎞에 달하는 단층선을 따라 지반이 6∼9m 정도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는 비슷한 길이의 단층선을 따라 지반이 최대 45m 이동했고 이 때문에 '괴물 쓰나미'가 발생했다.

미국 오리건 대학교 캐스케이디아 지역 지진 과학 센터 디에로 멜가 소장은 "이런 세부적 요소들이 쓰나미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다만 멜가 소장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가 치명적이지 않다고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지적했다.

사람들이 각종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재난 생중계에 익숙해졌지만 인구 밀도가 낮은 캄차카반도 특성상 쓰나미 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멜가 소장은 정확한 이번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 분석은 위성 자료 검토와 현장 조사 등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끝)

| 조성숙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우의장, 7일 내란특검 직접출석…'계엄해제 방해' 참고인 조사

08.05 | 강요셉 기자

사라진 일본군 추모 충혼비…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행방 수소문

08.05 | 서순복 기자

제21회 독립기념관 학술상 수상자 황민호 숭실대 교수

08.01 | 조성숙 기자
Now

현재 캄차카 지진 규모 8.8에 달했는데…쓰나미 잠잠한 이유는

07.31 | 조성숙 기자

해병특검, '기록회수' 이시원 31일 소환…'尹격노' 조태용 조사(종합)

07.29 | 박상민 기자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07.28 | 서순복 기자

내란특검, 이상민 전 장관 구속영장…'비상계엄 尹공모' 판단

07.28 | 박상민 기자

李대통령 "국민 죽어가는데 음주가무 정신나간 공직자 엄히 단속"

07.22 | 박상민 기자

경찰, 총격범 사제 폭발물 '실제 폭발성 있다' 1차 판단

07.22 | 뱍샹민 기자

가평군 "수해 복구 인력난…외부 자원봉사 절실" 호소

07.22 | 서순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