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5개국 결혼·출산 인식 비교해보니…이유있는 한국의 초저출생

   

보사연, 한·일·독·프·스웨덴 조사…희망 자녀수 한국이 가장 적어

2025.08.14 12:04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5개국 결혼·출산 인식 비교해보니…이유있는 한국의 초저출생

 2025-08-14 

보사연, 한·일·독·프·스웨덴 조사…희망 자녀수 한국이 가장 적어
출산시 '미래 불확실성' 등 고려 요인 많아…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커

PYH2025072408540001300_P4.jpg

  경기도 고양시 CHA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들이 아기를 돌보고 있다. 2025.7.24 

원본프리뷰

 한국의 젊은 층이 독일, 일본, 프랑스, 스웨덴의 동년배에 비해 자녀 출산 결정에 고려하는 요소들이 많고, 출산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나 기회 제약에 대한 우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이 쉽지 않고 사회가 불공정·불평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한국이 가장 높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이들 5개국에 거주하는 20∼49세 성인 2천500명씩을 대상으로 지난해 6∼9월 진행한 결혼과 출산·육아, 인구정책 등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14일 '보건복지포럼' 8월호에 공개했다.

독일과 일본, 프랑스, 스웨덴 등 비교대상 4개국은 모두 출산율 하락을 겪고 있지만, 합계출산율이 1명대로, 우리나라의 0.75명보다는 월등히 높다.

동일한 설문지를 가지고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인식조사에서 현재 결혼한 상태가 아닌 사람들의 결혼 의향은 의외로 한국 52.9%로 가장 높았고, 스웨덴 50.2%, 독일 46.5%, 프랑스 38.2%, 일본 32.0% 순으로 뒤를 이었다.

출산 의향은 스웨덴 43.2%, 프랑스 38.8%, 독일 38.6%, 한국 31.2%, 일본 20.3% 순으로 높았다. 다만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교해보면 일본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거나 '생각해본 적 없다'는 응답률이 우리보다 높았던 반면, '낫지 않을 생각'이라는 응답률은 한국(47.3%)이 일본(45.9%)보다 높았다.

출산 의향이 있는 사람들이 계획하는 자녀 수는 우리나라가 1.74명으로 가장 적었다. 독일은 2.4명, 스웨덴 2.35명, 프랑스 2.11명 일본 1.96명이었다.

실제로 한국의 첫째 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에서 낮은 편이 아니지만, 셋째 이상 출산율은 제일 낮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한국의 낮은 출산율의 원인은 출산 관련 인식에서 찾을 수 있었다.

출산 계획시 고려하는 요인들과 관련해 우리나라는 '가정의 경제적 여건', '주거 여건', '경력 단절의 가능성' 등 모든 요인을 다른 나라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AKR20250814076200530_01_i.jpg

 

원본프리뷰

출산 결정에 있어서 고민할 요소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인데, 특히 한국인의 절반 이상(50.1%)이 '미래 불확실성'을 매우 중요한 고려 요인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웃 일본은 그 비율이 30.5%, 스웨덴은 22.5%에 그쳤다.

자녀 출산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경제적 부담이 늘어난다'는 데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이 한국이 59.9%로, 프랑스(35.6%), 일본(35.0%), 스웨덴(25.2%) 등보다 월등히 높았다.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진다'거나 '나나 배우자가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든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한국이 가장 높았다.

일과 가사, 육아를 병행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한 문항엔 한국에선 57.6%가 어렵다고 답해 일본(55.8%), 프랑스(47.3%), 스웨덴(23.2%) 등보다 높았다.

사회에 대한 인식도 한국이 가장 부정적이었다.

'전반적으로 공정한 사회이다'라는 명제에 동의하는 정도를 5점 만점으로 측정하니 한국은 2.35점에 그쳤다. 독일과 프랑스는 약 2.8점이었다.

반면 '소득 격차가 너무 크다', '가장 부유한 1%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자산이 너무 많다'라는 데엔 한국인들이 더 많이 동의를 표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인식과 가치관 차이가 각국의 가족 형성과 출산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결혼·출산·육아 인식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일·가정 양립 여건, 경력 유지 가능성, 제도의 실효성 등 구체적인 사회적 조건들이 맞물려 형성되는 구조적 문제"라며 "향후 인구정책은 이러한 점을 반영해 구조 전반의 전환을 동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끝)

| 서순복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성인 8.2%, 일상에서 기본적 디지털기기 조작도 어려워"

08.19 | 서순복 기자

통일부 "북한인권보고서 생산하되 비공개"

08.19 | 강요셉 기자

경제6단체 "노란봉투법 산업근간 흔들어…재계수정안 수용해야"

08.18 | 서순복 기자

尹, 내란재판 다섯번째 불출석…당사자 없이 궐석재판 진행

08.18 | 서순복 기자
Now

현재 5개국 결혼·출산 인식 비교해보니…이유있는 한국의 초저출생

08.14 | 서순복 기자

李대통령 '배임죄 완화' 발언에 국민 과반 '공감'[리얼미터]

08.11 | 박상민 기자

환자단체 "전공의 복귀는 단기 해법…환자보호법 입법해야"

08.11 | 박상민 기자

인천항, 중국 웨이하이항과 협력 강화…신규 항로 공동 개발

08.06 | 서순복 기자

"나도 신세계백화점 폭파하겠다" 협박글 20대 검거…수색 종료

08.06 | 서순복 기자

폭염에 온열질환 119 출동 작년비 144%↑…"증상 시 즉각 신고"

08.05 | 박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