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사회 > 사회
사회

"임시주택 1년뒤는" "부족한 지원금"…어르신 이재민들 걱정 태산

   

모듈러주택 1년에 추가 1년까지만 거주 가능…"집 지을 돈이 어딨나"· "원래 생활로 돌아갈 수 있…

2025.03.31 16:1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44f2a08ed06cc0b6e98a43ad2ac3a0d9_1743405171_831.jpg 

산불이 할퀸 자국


일주일간 5개 시군을 덮친 경북 산불로 살던 집을 송두리째 화마에 빼앗긴 수천 명의 이재민들은 '일상 회복'에 얼마나 걸릴지 앞날이 캄캄하기만 하다.


대부분 고령인 이재민들은 집을 새로 마련할 때까지 장기간 임시 거주시설 생활을 견뎌야 한다.


각종 지원금이 나온다고 해도 집을 짓기에는 크게 부족하지나 않을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31일 경북도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산불 피해자들은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주거비 등을 지원받는다.


정부와 지자체는 주택이 모두 파손된 전파의 경우는 규모에 따라 2∼3600만원절반 정도 피해가 난 반파는 1∼1800만원의 주거비를 지급한다.


또 주택 피해에 따른 구호비로 1인당 1일 기준 1만원(전파 60반파 30거주 불가능 15일 등)을 제공한다.


여기에 전국에서 답지하고 있는 성금이 배분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재민들은 새집을 짓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막막하기만 하다.


대피소 생활을 하는 안동 일직면 이모(78) 씨는 "요즘 물가가 다 올라서 건축비가 걱정이고 모두가 같은 걱정을 한다" "돈이 없어서 빚내서 집을 지어야 할 판인데 이 나이에 돈을 어떻게 빌릴 수 있겠나"고 안타까워했다.


이에 경북도는 이번 산불이 사회 재난으로 분류돼 주거비 지원(주택 전파 경우 2천만∼3600만원)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자연 재난 수준의 복구 지원액 적용을 정부에 요청했다.


자연 재난은 피해주택 연면적에 따라 주택복구비가 6600∼12천만원이다.


44f2a08ed06cc0b6e98a43ad2ac3a0d9_1743405211_5562.jpg
31일 경북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 한 마을이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경북도 등 행정 당국은 고령의 이재민들이 단체로 생활하는 체육관 등 대피소에서 장기간 거주하지 않도록 모듈러주택 등 임시주거시설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모듈러주택을 공급해 이재민들이 집을 지을 때까지 임시로 1년 동안(1년 추가 거주 가능생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재민들을 대상으로 수요를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 1688동의 모듈러주택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했다.


1688동의 모듈러주택 구입에는 642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보고 국비 50%와 도비 및 시군비 50%로 부담할 계획이다.


이재민들은 임시 시설인 모듈러주택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비워줘야 해 앞으로 살 터전 마련에 걱정이 태산이다.


이번 산불로 5개 시군에서 주택 3617채가 불에 탔다.


이 가운데 대부분인 3556채는 전소됐고 나머지는 일부 또는 절반 정도가 소실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임시로 마련하는 연수원 등 시설은 체육관 등에 설치된 대피소를 떠나 단기간 임시로 생활하는 공간으로 이재민 주거시설 지원은 모듈러 주택 공급 중심으로 할 방침"이라며 "이재민 중에는 자식 집이나 이웃에서 생활하기를 희망하는 분들도 많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과 관련해 주거 관련 이외에 주 소득자가 사망·실종부상으로 소득을 상실할 경우와 주 생계 수단인 농··임업 시설 또는 농작물·산림작물 등에서 50% 이상 피해가 난 경우는 가구원 수에 따라 62만원에서 최대 217만원을 지급한다.


고등학생이 있는 경우는 교육비로 1인당 6개월 수업료 100만원을 준다.


이번 산불 사망자 유족에게는 위로금 2천만원과 장례비 최대 1500만원이 지원된다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것이다.


또 각 시·군은 의무 가입한 도민 안전 보험에 따라 사망자에게 보험금(시군별 4천만∼7천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 이승형 황수빈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사회 > 사회
사회

전북 시민단체·법조계, 함상훈·이완규 지명 철회 한목소리

04.11 | 정경재 나보배 기자

시민사회단체, 이완규 헌법재판관 지명에 "韓 직권남용" 고발

04.09 | 권희원 이율립 기자

당정, 산불 피해지 조립주택 2천700동 설치…주거·생활비 지원

04.03 | 홍지인 김정진 기자

화성도시공사, 현대자동차와 함께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에 앞장선다

04.01 | 편집국
Now

현재 "임시주택 1년뒤는" "부족한 지원금"…어르신 이재민들 걱정 태산

03.31 | 이승형 황수빈 기자

"스마트폰 금지로는 어린이의 건강한 기술 활용 준비 못 시켜"

03.28 | 이주영 기자

산불로 26명 사망…산림피해 '역대최악 2000년 동해안 산불' 넘어서

03.27 | 양정우 기자

韓탄핵 기각에 尹찬탄단체 "헌재 규탄"…반탄 진영은 환영

03.24 | 이율립 최원정 기자

崔대행, 美상호관세 동향 점검…'민감국가' TF 구성 지시

03.24 | 민경락 기자

'연금개혁 미래세대 부담' 주장에…전문가들 "젊은층 위한 개혁"

03.24 | 성서호 오진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