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태화강으로 무대를 넓힌 울산태화강마두희축제 경제 파급 효과가 73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태화강마두희축제 추진위원회는 23일 중구청에서 축제 평가보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올해 관람객이 22만여 명, 경제적 파급효과는 72억9천300만원으로 보고됐다.
관람객 수는 축제 기간(6월 23∼25일) 원도심 등에 설치된 무인계수기 9개가 셈한 것이다.
경제 효과는 한국축제문화연구소가 관람객 소비, 고용 유발 효과, 세수 유발 등을 분석해 추산했다.
또 중구가 축제 기간 관람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관람객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31%로 가장 많았다.
30대 26.3%, 40대 24.0%, 20대 12.0%로 그 뒤를 이었다.
참가자 한 명당 체류 시간은 '4시간 이내'가 41.0%로, 절반 가까운 관람객이 숙박하며 지역에 체류하기보다 당일 방문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큰줄다리기 12.6%, 태화강 치맥 페스티벌과 축하공연 12.2%, 개막식 및 개막 축하공연 7.5% 순이었다.
축제 만족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02점으로 조사됐다.
김영길 중구청장은 "전국 대표 여름 축제로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더욱 알차고 풍성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완성도를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마두희축제는 그동안 원도심 중심으로 열렸으나, 올해는 인근 태화강변까지 확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