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2일(수)
  • 글이 없습니다.

 

홈 > 문화 > 문화
문화

홍익표 "문화예술체육관광 분야, 국가재정 2% 시대 열어야"

   

"삶의 질 제고·글로벌 영향력 확대에 기여"

2023.03.15 16:22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e74fe66dc5a6875c383ba6b35a0e701a_1678864931_0478.jpg
홍익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이 23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스퀘어에서 열린 
2022 서울국제작가축제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홍익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15 "문화·예술·체육·관광 분야의 국가 재정 2%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홍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문화·예술·체육·관광 국가 재정 2% 시대를 여는 비전대회'에서 "이 분야는 지난 10여년간 국가재정의 약 1%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위원장은 "2021년 기준 국가별 국내총생산(GDP) 대비 문화·오락·종교 예산이 한국은 1.061%에 불과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비교해도 한국의 문화·예술·체육·관광 분야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기준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3만5 달러에 달하는 선진국이지만, 1년 근로 시간이 1915시간으로 OECD 기준 5, 우울증 유병률도 36.8% OECD 기준 1위를 차지하는 등 여전히 국민의 삶의 질이 낮다" "OECD나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그는 유럽연합(EU)의 미디어 프로그램인 '크리에이티브 유럽' 사례도 들며 "문화 다양성 증진, 문화유산 보존, 문화예술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위한 프로그램인데, 관련 예산이 2014~2020 147천 만 유로( 2548억원)에서 2021~2027 244천 만 유로로 65%나 증가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화·예술 투자의 경제적 효과와 관련해서도 "지난해 기준 예술·스포츠·여가 분야 취업유발 계수는 10억 원당 14.5명으로 제조업(10억원당 7.6)보다 높았다" "BTS가 '다이너마이트' 빌보드차트 1 달성으로 얻은 직접효과 및 수출 증가만 2457억 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문화·예술 분야 투자를 통해 한국은 분단국가에서 문화콘텐츠 강국으로 이미지가 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영향력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홍 위원장은 "문화 발전을 위한 환경이 잘 조성된다면 문화·예술 분야는 한국의 국제 위상을 책임지는 가장 중요한 분야가 될 것"이라며 "문화·예술·체육·관광 분야 국가 재정 2% 시대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한주홍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문화 > 문화
문화

李대통령, '尹 거부권' 방송법·양곡법·농안법 국무회의 의결

08.18 | 박윤진 기자

[픽! 보령] 80주년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수목원에 나라꽃 만개

08.01 | 박윤진 기자

[신간] 모여 살기와 공존의 감각…'정의와 도시'

07.24 | 변지섭 기자

교회 찾은 '부정선거론' 모스 탄…밖은 "거짓선동 그만" 시위

07.18 | 변지섭 기자

세종 때 구축한 개성 있는 군사거점…'서천읍성' 사적 예고

07.17 | 변지섭 기자

임산부·영유아 가정 문화 향유 기회…연말까지 '핑크문화데이'

07.16 | 박윤진 기자

AI가 청소년상담사?…딥브레인AI, 심리상담용 키오스크 구축

07.14 | 강요셉 기자

용산 일본문화센터 방화 시도 60대 검거…"역사왜곡에 반감"

07.10 | 서순복 기자

공정위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심사 사전협의 중"

07.10 | 박윤진 기자

거북선에 일장기?…SRT 간식 박스 논란

07.09 | 박윤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