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2일(수)
  • 글이 없습니다.

 

홈 > 문화 > 문화
문화

일제강점기 탱화 속 태극기 105년만에 확인…"항일운동 일환"

   

"불화에서 첫 발견" 1895년 우표로 알려진 디자인…검열 피하려 작게 그려

2023.02.22 10:0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43ccb9e646c382d15c35233df4ddfee3_1677027885_8072.jpg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전북 남원 선원사 명부전의 후불탱화에서 발견된 
태극기 문양에 관해 설명하는 기자간담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은 탱화 속 시왕 관모에 그려진 태극기를 보여주는 자료


대한불교조계종 선원사는 보관 중이던 탱화에서 일제 강점기인 1917년에 그린 태극기가 발견됐다고 21일 발표했다.


태극기는 전북 남원시 소재 선원사 명부전에 있는 '지장시왕도'에 등장하는 한 캐릭터의 관모에 사다리꼴 형태로 그려져 있다.


태극기 크기는 가로(긴변 기준, 이하 동일) 8.3㎝ 세로 4cm이며 가운데 있는 원의 지름은 2.8㎝였다. 선원사 주지인 운문스님은 이 태극기를 작년 10∼11월 무렵 기도 중에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주목받지 못했던 불화 속 태극기의 존재를 105년 만에 명확하게 인식한 셈이다.

 

지장시왕도의 전체 크기는 가로 약 184, 세로 약 171㎝다. 태극기가 작게 그려진 것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이 태극기의 경우 4괘의 순서가 오른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건(, 3)-(, 5)-(, 6)-(, 4) 순으로 배치됐다.


태극기를 오래 연구한 송명호 전 문화재청 근대문화재분과 전문위원은 이날 서울 종로구 소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당시 정보 전달 수단이 제한적이었지만 1895년에 발행한 우표에 이런 모양의 태극기가 담겨 있어 보편적인 괘 배치가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사용되는 태극기는 이와 달리 왼쪽 위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건---감 순으로 괘가 배치돼 있다.


태극 무늬에는 양은 홍색, 음은 녹색보다 약간 옅은 뇌록색(磊綠色)으로 돼 있었는데 이 역시 눈에 잘 띄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송 전 위원은 해석했다.


탱화 하단에는 '다이쇼(大正) 6'(1917)이라는 연도 표기와 함께 제작 과정에 관한 설명이 적혀 있다.


동국대 불교미술 전공 책임 교수를 지낸 김창균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위원은 그림 제작이 1917 11 5일 시작됐고 같은 달 17일 완성돼 봉안됐다고 조사보고서에서 밝혔다.


그는 당시 주지인 기선스님이 진응스님의 증명을 받아 수화승 만총의 지휘 아래 상오·행은·봉인·명진·성열·법상 스님 등이 동참한 가운데 지장시왕도를 제작했다고 덧붙였다.


진응스님은 일제의 방침에 맞서 화엄사를 본산으로 승격시킨 인물이며 독립운동가 한용운과도 교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 전 위원은 "불화를 통틀어서 태극기 그림이 발견된 것은 최초"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1978년부터 태극기를 연구했고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는 동안 국립박물관 소장 지장시왕도에 태극 문양이 그려진 것을 봤지만 선원사의 지장시왕도처럼 태극기가 그려진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진응 스님의 항일 행적에 비춰보면 태극기 그림은 "항일운동 일환으로 제작한 것"이라고 규정했다.


43ccb9e646c382d15c35233df4ddfee3_1677027915_7929.jpg
전북 남원시 소재 선원사 명부전에 있는 불화인 '지장시왕도'(사진 오른쪽)에 등장하는 한 캐릭터(노란 동그라미 표시)의 관모에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왼쪽 사진은 태극기가 그려진 캐릭터를 확대한 모습. 대한불교조계종 선원사는 이 지장시왕도가 일제강점기인 1917년에 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21일 발표했다


태극기 소지 자체가 강한 탄압을 받던 시기였기 때문에 지장시왕도에 태극기를 그려 넣은 것은 비장한 각오를 하고 위험을 무릅쓴 행동이라는 것이다.


김 위원은 관모에 태극기가 그려진 캐릭터가 변성대왕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송 전 위원은 변성대왕이 칼로 남을 괴롭힌 죄인이 칼로 된 길을 걸어 다니게 해 고통을 주는 도산지옥을 관장한다면서 '일제는 반드시 변성대왕의 도산지옥에서 칼의 심판과 고통을 받아야 마땅하다'는 진응스님의 인식이 그림에 투영됐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운문스님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장시왕도를 국가근대문화재로 등록해달라는 신청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세원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문화 > 문화
문화

李대통령, '尹 거부권' 방송법·양곡법·농안법 국무회의 의결

08.18 | 박윤진 기자

[픽! 보령] 80주년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수목원에 나라꽃 만개

08.01 | 박윤진 기자

[신간] 모여 살기와 공존의 감각…'정의와 도시'

07.24 | 변지섭 기자

교회 찾은 '부정선거론' 모스 탄…밖은 "거짓선동 그만" 시위

07.18 | 변지섭 기자

세종 때 구축한 개성 있는 군사거점…'서천읍성' 사적 예고

07.17 | 변지섭 기자

임산부·영유아 가정 문화 향유 기회…연말까지 '핑크문화데이'

07.16 | 박윤진 기자

AI가 청소년상담사?…딥브레인AI, 심리상담용 키오스크 구축

07.14 | 강요셉 기자

용산 일본문화센터 방화 시도 60대 검거…"역사왜곡에 반감"

07.10 | 서순복 기자

공정위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심사 사전협의 중"

07.10 | 박윤진 기자

거북선에 일장기?…SRT 간식 박스 논란

07.09 | 박윤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