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2일(수)
  • 글이 없습니다.

 

홈 > 문화 > 문화
문화

교육부 "전면등교 방안 이달 발표…탄력적 학사방안 공유할 것"

   

2021.06.14 11:26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수원=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수도권 중학교의 등교수업이 확대된 14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화홍중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BR>    교육부는 이날부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서의 학교 밀집도 기준이 기존 3분의 1에서 3분의 2로 조정된다고 밝혔다. 2021.6.14 xanadu@yna.co.kr
등교하는 중학생들

(수원=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수도권 중학교의 등교수업이 확대된 14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화홍중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부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서의 학교 밀집도 기준이 기존 3분의 1에서 3분의 2로 조정된다고 밝혔다. 2021.6.14 xanadu@yna.co.kr



교육부는 14일 "(오전·오후반 도입 등) 시·도별 탄력적인 학사 운영 방안 우수사례를 모아 2학기 등교 확대에 더 많이 활용되고 공유될 수 있도록 조처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출입기자단과의 정례 백브리핑에서 "작년 경험을 통해 다양한 학교에서 탄력적인 학사 운영 방안을 통해 밀집도를 유지하면서 등교를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우수사례를 모아 각 시·도가 학교별 컨설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이달 중순 2학기 전체 학생의 등교를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기로 한 가운데 2학기에도 전면 등교를 하더라도 학생들이 시차제 등교 등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전면 등교를 위해 교육계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른 과밀학급 해소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은 (로드맵을) 발표할 때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과밀학급·과대 학교를 중심으로 2학기에도 전면 등교 대신 밀집도 3분의 2까지 등교하게 해달라는 목소리가 나온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전국적인 공통의 밀집도 기준을 정하고, 지역 특수성·학교 자율성은 충분히 제공하는 방안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부터 수도권 중학교는 3분의 2까지 등교를 확대하고, 전국 직업계고는 전면 등교를 시행하게 됐으나 밀집도 확대에 따른 급식실 방역 문제는 크게 불거지진 않을 것이라고 교육부는 전망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도권 중학교의 경우 전체 학생이 아닌 3분의 2까지 등교하는 것이어서 시차 급식제를 통해 두 번 나눠서 급식한다"며 "3분의 2 등교 때 급식은 그간 기존 수도권 학교에서도 일부 하고 있고 많은 학교에서 경험해 봐서 큰 무리 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교육부 관계자는 "(전면 등교하는) 직업계고에는 급식실 전 좌석 칸막이 설치, 학년·학급별 시차 배식제를 안내했고 필요할 경우 대체식을 제공해달라고 안내했다"며 "급식 전후 환기하고 급식 도구 방역을 철저히 해달라고 안내해 시·도 교육청에서 자율적·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학교의 2학기 대면 강의 확대 방안에 대해서는 이달 말 전에 발표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porque@yna.co.kr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문화 > 문화
문화

李대통령, '尹 거부권' 방송법·양곡법·농안법 국무회의 의결

08.18 | 박윤진 기자

[픽! 보령] 80주년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수목원에 나라꽃 만개

08.01 | 박윤진 기자

[신간] 모여 살기와 공존의 감각…'정의와 도시'

07.24 | 변지섭 기자

교회 찾은 '부정선거론' 모스 탄…밖은 "거짓선동 그만" 시위

07.18 | 변지섭 기자

세종 때 구축한 개성 있는 군사거점…'서천읍성' 사적 예고

07.17 | 변지섭 기자

임산부·영유아 가정 문화 향유 기회…연말까지 '핑크문화데이'

07.16 | 박윤진 기자

AI가 청소년상담사?…딥브레인AI, 심리상담용 키오스크 구축

07.14 | 강요셉 기자

용산 일본문화센터 방화 시도 60대 검거…"역사왜곡에 반감"

07.10 | 서순복 기자

공정위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심사 사전협의 중"

07.10 | 박윤진 기자

거북선에 일장기?…SRT 간식 박스 논란

07.09 | 박윤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