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1일(화)
  • 글이 없습니다.

 

홈 > 문화 > 문화
문화

오늘 수험생 49만명 코로나19 속 수능…확진자·격리자도 본다

   

2020.12.03 12:1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확진자 37명·격리자 430명…시험실 작년의 1.5배로 늘어
 

PYH2020120300780001301_P2.jpg
[수능] '아들 힘내'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실시된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성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 앞에서 한 수험생 부모가 아들을 안아주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에서 일제히 시행된다.

수능 지원자는 역대 최소지만, 교육부가 코로나19 확진자, 자가격리자도 응시할 수 있도록 준비한 영향으로 시험실은 전년의 1.5배로 늘었다.'

         ◇ 수험생 마스크 착용 의무화…밤사이 확진자도 수능 응시
 

PYH2020120212310001300_P2.jpg
코로나19 확진 수험생 위한 고사장 설치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2일 서울의료원에서 병원 관계자들이 확진 수험생들이 수능에 사용할 책상을 만들고 있다. 


이번 수능 지원자는 49만3천433명으로 1년 전인 2020학년도보다 10.1%(5만5천301명) 줄었다.

지원자 규모는 수능 제도가 도입된 1994학년도 이후 역대 최소로, 50만 명 밑으로 떨어진 것도 사상 처음이다.

고3 재학생 지원자는 34만6천673명, 재수생·이른바 'n수생' 등 졸업생은 13만3천69명, 검정고시 출신 지원자는 1만3천691명이다.

지원자 가운데 졸업생 비율은 27.0%로 2004학년도(27.3%) 이후 가장 높다.

수험생은 줄었음에도 시험장·시험실은 오히려 늘었다.

전날 기준으로 시험장은 전국 86개 시험지구에 1천383개 마련됐다. 작년(1천185개)보다 198개 늘었다.

시험실은 총 3만1천291개로 작년(2만1천 개)의 1.5배로 늘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일반 시험실 당 수험생을 28명에서 24명으로 줄이고, 확진자·자가격리자·의심 증상자를 위한 시험실도 따로 마련한 영향이다.

수능 당일 수험생들은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미리 배정된 시험장으로 가 발열 체크를 받고 일반 시험실로 입실한다.

37.5도 이상의 열이 있거나 기침 등 의심 증상을 보이는 수험생은 2차 체크에서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일반 시험장 내 5∼6개씩 마련된 별도 시험실로 이동해 시험을 본다.

자가격리자는 일반 시험장과 떨어진 별도 시험장에서, 확진자는 병원·생활치료센터에서 각각 응시한다.

지난 1일 기준으로 수험생 확진자는 37명, 자가격리자는 430명으로 집계됐다.

교육부는 수능 당일 새벽에 수험생이 확진 판정을 받아도 병원·생활치료센터에서 시험을 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 한 차례 연기에 칸막이 논란까지…'코로나 수능' 우여곡절
 

PYH2020112412890005100_P2.jpg
공부하는 고3 학생 [연합뉴스 자료사진]
btn_download2.gif


애초 이번 수능은 11월 19일로 예정됐지만, 코로나19로 1학기 개학이 3월에서 4월로 늦춰지면서 시험 일정도 2주 뒤로 미뤄졌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질 때마다 수능 연기론은 매번 불거졌다.

이에 교육부는 지난 9월 28일 코로나19 방역 대응을 위한 거리두기가 3단계로 격상되더라도 수능을 예정대로 치르겠다고 밝히며 수능 연기론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지난달 중순 이후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가시화하면서 일부 수험생을 중심으로 수능을 재차 미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또 나왔다.

하지만 수능 이후 대학별 평가와 내년 신학기 일정, 수능을 재연기할 경우 빚어질 더 큰 혼란을 고려해 교육부는 예정대로 수능을 치르겠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교육부가 책상 앞면에 가로 60㎝, 높이 45㎝ 크기로 설치하는 칸막이와 관련한 논란도 수능 때까지 지속됐다.

수험생들은 칸막이가 놓일 경우 책상 공간이 좁아져 시험을 치르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칸막이의 재활용이 어렵다는 이유로 환경을 생각하지 않은 대책이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그러나 교육부는 방역을 위해 불가피한 조처라며 설치 계획을 철회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칸막이 재활용과 관련해서는 여론을 반영해 칸막이 재사용 방안을 환경부와 논의하기로 했다.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문화 > 문화
문화

李대통령, '尹 거부권' 방송법·양곡법·농안법 국무회의 의결

08.18 | 박윤진 기자

[픽! 보령] 80주년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수목원에 나라꽃 만개

08.01 | 박윤진 기자

[신간] 모여 살기와 공존의 감각…'정의와 도시'

07.24 | 변지섭 기자

교회 찾은 '부정선거론' 모스 탄…밖은 "거짓선동 그만" 시위

07.18 | 변지섭 기자

세종 때 구축한 개성 있는 군사거점…'서천읍성' 사적 예고

07.17 | 변지섭 기자

임산부·영유아 가정 문화 향유 기회…연말까지 '핑크문화데이'

07.16 | 박윤진 기자

AI가 청소년상담사?…딥브레인AI, 심리상담용 키오스크 구축

07.14 | 강요셉 기자

용산 일본문화센터 방화 시도 60대 검거…"역사왜곡에 반감"

07.10 | 서순복 기자

공정위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심사 사전협의 중"

07.10 | 박윤진 기자

거북선에 일장기?…SRT 간식 박스 논란

07.09 | 박윤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