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23일(목)
  • 글이 없습니다.

 

홈 > 문화 > 문화
문화

산업부, 중고교 통상교육 개선…메타버스 등 활용

   

2022.03.24 14:57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통상교육 웹사이트 화면
통상교육 웹사이트 화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통상교육 운영사업을 온택트(ontact) 시대에 맞게 개선한다고 24일 밝혔다.

온택트는 비대면을 일컫는 '언택트'(Untact)에 온라인을 통한 외부와의 '연결'(On)을 더한 개념이다.

중·고등학생 대상 통상교육 사업은 2017년부터 작년까지 753개교, 4만8천여명을 대상으로 1천회 이상 운영됐다.

지난해 교사와 학생 총 1천409명이 참여한 교육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90% 이상이 '매우 만족'한다고 답했다.

산업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지난해 처음 화상교육을 도입한 데 이어 올해도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개선 작업에 나선다.

먼저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공개강좌 플랫폼인 케이무크(K-MOOC)를 활용한 교육을 확대하기로 했다.

1단계로 K-MOOC에 탑재한 온라인 강좌를 통해 주요 개념에 대해 사전학습한 뒤 2단계로 본 수업에서 전문 강사와 질의응답, 토론 등을 진행하는 플립 러닝(사전 온라인 학습+오프라인 실습) 교육방식을 정착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게더타운, 제페토 등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을 시범 운영한다. 2단계 교육 과정을 3차원 가상세계에서 진행하고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통상 게임'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밖에 교육과정을 수료한 중·고등학생들이 통상 관련 자유주제로 심화학습을 한 후 학습 성과를 발표하고 우수자를 시상하는 자리도 마련하기로 했다.

통상 교육을 희망하는 중·고등학교는 이날부터 새롭게 개설한 별도 홈페이지(http://www.trade-edu.kr)에서 수강 신청을 하면 된다.

| 윤보람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문화 > 문화
문화

李대통령, '尹 거부권' 방송법·양곡법·농안법 국무회의 의결

08.18 | 박윤진 기자

[픽! 보령] 80주년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수목원에 나라꽃 만개

08.01 | 박윤진 기자

[신간] 모여 살기와 공존의 감각…'정의와 도시'

07.24 | 변지섭 기자

교회 찾은 '부정선거론' 모스 탄…밖은 "거짓선동 그만" 시위

07.18 | 변지섭 기자

세종 때 구축한 개성 있는 군사거점…'서천읍성' 사적 예고

07.17 | 변지섭 기자

임산부·영유아 가정 문화 향유 기회…연말까지 '핑크문화데이'

07.16 | 박윤진 기자

AI가 청소년상담사?…딥브레인AI, 심리상담용 키오스크 구축

07.14 | 강요셉 기자

용산 일본문화센터 방화 시도 60대 검거…"역사왜곡에 반감"

07.10 | 서순복 기자

공정위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심사 사전협의 중"

07.10 | 박윤진 기자

거북선에 일장기?…SRT 간식 박스 논란

07.09 | 박윤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