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사매거진 & 인터넷신문(1999년 창간)
10월 19일(일)
  • 글이 없습니다.

 

홈 > 경제 > 경제
경제

KIEP, 내년 세계성장률 3.2→3.0%…'트럼피즘' 美 0.4%p 상향

   

2025년 세계경제전망…美 1.7→2.1%, 中 4.5→4.1%, 유로존 1.6→1.3% 올해 세계성장률 3.1% 전망…

2024.11.14 15:0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61b07790f2f613168d93da31c5f061bd_1731564181_7414.jpg
미 트럼프 당선에 치솟는 환율…1,420원 전망까지


국책연구원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감세 조치 등으로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중국·유로존 등은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KIEP는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2025년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KIEP가 전망한 내년 세계성장률(3.0%)은 지난 5월 전망치(3.2%)보다 0.2%포인트(p) 낮은 것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2%), IMF(3.2%) 등이 미국 대선 전 내놓은 성장률 전망보다 낮다.

KIEP는 내년부터 미국 신정부의 공약들이 일부 이행되기 시작하면서 세계·중국 등 성장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른바 '트럼피즘' 강화로 성장 우위가 지속하는 미국과 다른 주요 선진국의 성장 격차가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이시욱 KIEP 원장은 "미국 경제가 안정화되면 보편관세는 실현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데 시기적으로는 내년보다는 내후년에 실현될 가능성이 크다"라며 "10∼20%의 세율을 부과하면 교역 물량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고율의 대중 관세는 트럼프 1기 경험을 토대로 내년부터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김시욱 원장은 "대중 관세는 빨리 시작할 수 있지만 처음부터 60%로 할지는 불확실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KIEP는 미국 신행정부 출범과 자국 우선주의·보호무역주의 심화, 중국 경제 부진 등을 세계 경기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각국의 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 전환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실질부채 부담 증가 등도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지목했다.

61b07790f2f613168d93da31c5f061bd_1731564272_6461.jpg
[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전망


미국 경제는 내년에도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경기 호조세가 지속되면서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5월 전망치(1.7%)보다 0.4%p 상향된 것이다.

KIEP는 관세 인상, 세제개편 등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정책 방향 전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이 미국 경기의 불확실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감세 조치가 빠르게 시행될 경우 미국 경기는 안정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봤다.

반면 미국을 제외한 상당수 국가는 성장률 전망이 하향 조정됐다.

유로 지역은 독일 경제 부진, 무역 마찰 이슈 재부각 우려 등으로 내년 성장률 전망이 1.6%에서 1.3%로 낮아졌다.

중국 역시 내수 지지를 위한 경기 부양책에도 미국의 추가 관세 도입과 대중 제재 등으로 기존 전망(4.5%)보다 0.4%p 낮은 4.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아세안 5개국 역시 미·중 갈등 등 영향을 받아 성장률 전망이 4.8%에서 4.7%로 하향 조정됐다.

일본도 수출 감소, 기업실적 둔화가 예상되면서 기존 전망대로 내년 1.0% 성장에 그칠 것 예측됐다.

한편, KIEP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로는 기존 전망치(3.0%)보다 0.1%p 상향 조정한 3.1%를 전망했다.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은 2.4%에서 2.8%로, 유로 지역은 0.7%에서 0.8%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중국은 기존 전망대로 4.8%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아세안 5국의 성장률 전망은 4.5%에서 4.6%로 소폭 올라갔다.

정영식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최근 고환율과 관련해서 "최근 1,400원은 글로벌 달러 흐름을 반영하고 있고 원화는 유로·엔화 등 통화에 비해 약세가 덜하다"며 "하반기로 갈수록 1,400원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 민경락 기자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경제 > 경제
경제

S&P, SK이노 신용등급 'BBB-'로 상향…"합병으로 수익성 개선"

뉴스저널 | 2024.11.01 | 곽윤아 기자

가상화폐 비트코인 4%대 하락…7만달러선 붕괴(종합)

뉴스저널 | 2024.11.01 | 김태종 특파원

미국 금리인하 전망 속 "트럼프 당선시 인플레" 우려

뉴스저널 | 2024.11.01 | 차병섭 기자

범죄로 남편 잃고 한국어 못해 구조금 못 받아…검찰서 구제

뉴스저널 | 2024.10.29 | 황윤기 기자

노동진 수협회장 "기후변화로 수산물 공급 어려워져"

뉴스저널 | 2024.10.14 | 김윤구 기자

"SK하이닉스, 삼전 어려움 속 향후 1년 HBM 지배력 유지 전망"

뉴스저널 | 2024.10.14 | 차병섭 기자

한은 총재 "챗GPT는 10월 금리 동결이 최선이라고 대답"

뉴스저널 | 2024.10.14 | 한지훈 민선희 기자

한은 총재 "금리 인하 여력 있어…속도는 금융안정 보면서"

뉴스저널 | 2024.10.11 |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최악'은 피한 삼성전자 반도체…엔비디아 'HBM3E' 통과는 숙제

뉴스저널 | 2024.10.08 | 강태우 기자

개인채무자보호법 내달 시행…금융당국, 점검반 가동한다

뉴스저널 | 2024.10.08 | 오지은 기자

폭염에 채솟값 강세…배추 수입업체에 물류비 첫 지원

뉴스저널 | 2024.10.02 | 신선미 기자

기아·현대로템·위아, KADEX서 차세대 군용기술·무기체계 선봬

뉴스저널 | 2024.10.02 | 김보경 기자

"충남 경기 확장기 진입…내수 회복 속도는 더뎌"

뉴스저널 | 2024.09.24 | 김소연 기자

美 빅컷 이후 방향성 찾느라 고민하는 투자자들…"금융주 주목"

뉴스저널 | 2024.09.23 | 차병섭 기자

삼성전자 '1Tb QLC 9세대 V낸드' 양산…"AI 시대 이끌 것"

뉴스저널 | 2024.09.12 | 강태우 기자

현대차그룹, 아동보호기관 상담원 지원행사 '아이케어 업' 개최

뉴스저널 | 2024.09.12 | 한상용 기자